홍콩,대만,신장 문제 토론 이뤄지자 중국 내 접속 금지 나서

애플 앱스토어에 올라온 SNS 서비스 클럽하우스.
9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전날 저녁부터 중국 본토 이용자들은 클럽하우스 접근이 막혔다. 일부 이용자는 스마트폰으로 클럽하우스를 열려고 하자 ‘SSL 오류가 발생해 서버에 안전하게 연결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가 떴다며 화면 스크린샷을 인터넷에 올렸다.
최근 클럽하우스는 중국에서도 인기몰이를 시작했다. 이곳으로 몰려간 사람들 가운데 일부는 신장 위구르족 강제수용소와 대만 독립, 홍콩 국가보안법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주제를 토론했다. 한 누리꾼은 당국의 차단 조치가 “너무 빨랐다”고 말했다.
스탠퍼드대 사이버정책센터 그래엄 웹스터는 “몇 년 전에는 문제가 생긴 뒤에야 검열 당국이 나섰다. 이제는 폭넓은 접근이 가능해지기 전에 ‘싹을 자르는’ 식으로 이 공간을 닫았다”고 블룸버그통신에 말했다.
중국에서는 정부의 통제 강화로 온라인상 공론장이 꾸준히 축소돼왔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같은 미국 SNS가 모두 금지돼 있다. 이들에 접속하려면 가상사설망(VPN)을 통해 인터넷 접속지를 중국 외 지역으로 우회해야 한다.
클럽하우스는 지난해 4월 시작된 소셜미디어다. 다른 SNS와 달리 음성으로 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새로 가입하려는 이들은 기존 이용자에게서 초대장을 받아야 한다.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지난 1일 클럽하우스 토론에 참여한 일이 화제가 되자 전 세계에서 사용자가 빠르게 늘었다. 알리바바 등 중국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클럽하우스 초대장이 최고 400위안(약 7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중국 언론은 클럽하우스에 대한 비판적 보도를 내놓고 있다. 글로벌타임스는 클럽하우스가 자유로운 발언의 해방구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 신문은 홍콩과 티베트의 분리주의자들이 클럽하우스를 자신들의 정치적 주장을 일방적으로 전파하는 수단으로 삼고 있다고 비판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