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3구 종부세 전국 25%… 세 부담은 비강남권으로 확산

강남 3구 종부세 전국 25%… 세 부담은 비강남권으로 확산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1-11-27 09:00
수정 2021-11-27 0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세청, 서울 구별 종부세 고지 현황
강남 3구 종부세액·인원 비중은 줄어

이미지 확대
서울 강남구 아파트
서울 강남구 아파트
서울의 올해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고지 세액은 2조 776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2021년 주택분 종부세 서울시 구별 고지 현황’에 따르면 서울 강남 3구의 종부세액은 1조 4681억원이었다. 이는 서울 전체의 52.9%에 달하는 비중이다. 세액의 범위를 전국(5조 6789억원)으로 확대하면 25.9%다.

강남 3구의 종부세 고지 인원은 22만 6000명으로 서울 전체 48만명의 47.1%, 전국 전체 94만 7000명의 23.9%였다.

구별로는 강남구가 9만 2000명에 8383억원이 부과돼 서울 전체에서 고지 인원과 세액이 가장 많았다. 서초구는 6만 5000명에 3950억원, 송파구는 6만 9000명에 2348억원이었다. 서초구는 세액이 강남구에 이어 2위였고, 송파구는 고지 인원이 강남구에 이어 2위였다.

강남 3구의 종부세 고지 인원은 지난해 20만 6000명에서 9.7% 늘었다. 세액은 지난해 6982억원에서 110.3% 폭증했다. 하지만 강남 3구의 고지인원과 세액이 서울 25개 자치구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오히려 줄었다. 고지 인원 비중은 지난해 52.4%에서 올해 47.1%로 5.3% 포인트 줄었고, 세액 비중도 지난해 58.8%에서 올해 52.9%로 5.9% 포인트 감소했다. 강남 3구에 몰렸던 종부세 부담이 다른 22개구로 번졌다는 의미다.

강남 3구 외에 고지 인원과 세액이 많은 구는 용산구(2만 1000명·1913억원), 마포구(2만 1000명·1023억원), 성동구(1만 7000명·803억원), 강동구(1만 7000명·635억원) 순이었다.


박춘선 서울시의원, 우리 동네 ‘누구나 걷기 편한 명품 공원길’ 완성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9일 문현섭 구의원(강동구, 국민의힘), 강동구 푸른도시과와 함께 강동구 상일동 일대에 위치한 명일근린공원을 찾아 무장애 데크길 조성사업의 완료 현장을 점검하고 지역 주민들과 함께 완공을 축하했다. 본 사업은 서울시 2024년 본예산 8억원이 편성되어 추진된 것으로, 공원 내 493m(폭 1.5m~1.8m) 구간에 데크길을 설치하고, 흙먼지털이기 1개소 교체, 수목식재 및 경관조명 설치 등이 포함된 정비사업이다. 2024년 10월 공사 발주 및 계약을 거쳐 11월 착공에 들어갔으며, 올해 6월 27일 공사가 최종 마무리됐다. 특히 데크길 설치를 통해 수목이 자라는 녹지공간을 보호하고 이동약자·휠체어·유모차·어르신 등 공원을 찾는 모든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박 의원은 “강동구 상일동에 위치한 명일근린공원은 지역 주민들이 일상 속에서 여가와 휴식을 즐기는 중요한 생활공간”이라며 “누구나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 공원길이 완성된 것은 주민들의 건강증진 및 여가복지의 질을 높이는 큰 성과”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박 의원이 서울시 예산 확보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원, 우리 동네 ‘누구나 걷기 편한 명품 공원길’ 완성

서울에서도 종부세 고지 인원보다 세액의 증가 폭이 월등히 컸다. 세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금천구로 지난해 28억원에서 올해 191억원으로 6.8배(582.1%) 증가했다. 구로구는 69억원에서 342억원으로 395.7%, 중랑구는 50억원에서 230억원으로 360.0% 늘었다. 종부세 고지 인원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노원구로 6000명에서 1만명으로 1년 사이 4000명 증가했다. 도봉구와 중랑구는 각각 3000명에서 5000명으로 2000명(66.7%) 늘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