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성명서 초안작성 12시간 뒤 발표…그나마 선언적 내용만 담아 불안 키워
코스피지수가 전날 종가와 대비해 장중 무려 143.75포인트 하락을 기록한 8일 홍남기 기획재정부 대변인은 정부과천청사에서 정례 브리핑을 갖고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의 전화회의에서 일단 시장 안정을 위한 공동성명서가 회람돼 협의 중”이라며 “내용이 마무리되는 대로 배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개인 투자자들이 7000억원 이상의 주식을 순매도하고 시장이 끝날 때까지 성명서는 발표되지 않았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요동친 금융시장
미국 신용등급 강등 여파로 국내 금융시장이 엄청나게 요동친 8일 서울 중구 을지로2가 외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대화하고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5.10원 오른 1082.50원에 마감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성명서는 장이 끝난 직후 발표됐다. 각국의 동의를 얻느라 초안이 작성된 뒤 12시간이 지난 뒤에야 발표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공동성명의 필요성을 가장 강하게 주장했지만 그 효과는 누리지 못한 셈이다. 유럽 시장과 미국 시장은 G20 공동성명서 발표 이후 열렸다.
G20은 전 의장국, 현 의장국, 다음 의장국 등 3개국이 의장단을 구성하는 트로이카 체제로 구성된다. 이 같은 체제하에서 우리나라는 전 의장국으로 G20 의제 등에 있어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한다. 지난 7일 새벽에 열린 전화회의에서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차관보)이 공동성명서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고 회원국의 동의를 얻어낸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그러나 발표 시기에 대한 결정은 현 의장국인 프랑스가 갖는다. 프랑스가 다른 회원국이 모두 회람을 했는지 확인한 뒤에 발표를 결정하면 우리가 발표할 수 있는 것이다. 최 차관보는 “아시아 시장이 열리기 전에 성명이 발표되기를 바랐으나 회원국이 많다 보니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나마 공동성명서에는 선언적인 내용만 담겼다. 성명서는 “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신뢰와 협력의 정신에 기반해 회원국 간 조율을 통해 금융시장 안정을 지원하고 강한 경제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방안들을 강구해 나간다는 우리의 약속을 확인한다.”고 밝혔다.
최 차관보는 “구체적 행동에 들어갈 단계가 아니라서 (공동성명에) 이 정도로 담았고 앞으로 상황에 따라 추가 발표할 것”이라며 “국제 공조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G7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뿐 아니라 G20 재무장관 공조가 앞당겨졌더라면 아시아 지역의 주식 폭락까지 이어지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1-08-0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