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국물 라면 “빨간국물의 벽은 높았다”

하얀국물 라면 “빨간국물의 벽은 높았다”

입력 2012-05-22 00:00
수정 2012-05-22 13: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장 점유율 급락…신라면 등 ‘전통 강자’는 회복세

작년 말 라면시장에서 한바탕 선풍을 불러일으켰던 ‘하얀 국물’ 라면의 퇴조가 급격하다.

이에 비해 신라면(농심) 등 수십년간 인기를 누려온 전통의 빨간 국물 라면은 ‘하얀 바람’에 밀려 잠시 주춤했다가 기력을 되찾는 모습이다.

22일 농심과 AC닐슨에 따르면 꼬꼬면(팔도), 나가사끼짬뽕(삼양식품), 기스면(오뚜기)의 시장 점유율은 작년 12월 17.1%였으나 올들어 15.1%로 주춤한뒤 지속적으로 하락해 지난 4월은 한자릿수인 7.9%로 위축됐다.

작년 10월 이후 하얀 국물이 잇따라 출시되면서 라면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했지만 6개월만에 열기가 급랭했다.

작년 12월 꼬꼬면과 나가사끼 짬뽕은 각 시장 점유율 2위와 4위를 차지하면서 빨간국물을 위협했다.

그러나 4월에는 꼬꼬면이 9위로 추락하고 나가사끼도 6위로 내려앉았다.

같은달 점유율이 14.3%였던 라면의 ‘최강자’ 신라면은 4월 15.0%까지 회복했고 너구리도 4.5%에서 5.8%로 다시 치고 올라왔다.

삼양라면도 작년 12월 4.8%에서 5.1%로 올라섰다.

농심의 짜파게티도 작년 12월 점유율이 5.0%로 라면시장에서 순위가 5위로 밀렸다가 4월에는 6.6%로 상승하면서 신라면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라면업계의 한 관계자는 “하얀 국물에 관심을 뒀던 소비자들이 다소 싫증을 내면서 빨간 국물에 대해서는 구관이 명관이라는 인식을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4월 현재 라면업체별 시장 점유율은 농심 63.0%, 삼양식품 15.6%, 오뚜기 10.9%, 팔도 10.5%다.

농심은 하얀 국물 공세에 밀려 작년 12월 59.5%로 점유율 바닥을 쳤다가 반등했다.

한편 농심은 향후 1인 가구 증가로 용기면(컵라면)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전망했다.

작년 용기면 시장은 처음으로 6천억원대를 기록하면서 라면시장 전체 비중의 30%를 넘어섰다.

용기면은 최근 3년간 10%대의 판매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위 기사는 기사콘텐츠교류 제휴매체인 노컷뉴스 기사입니다. 모든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노컷뉴스에 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