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들 신년 화두 “함께 위기 극복을”

CEO들 신년 화두 “함께 위기 극복을”

입력 2013-01-03 00:00
수정 2013-01-03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년사 키워드 살펴보니

주요 대기업 최고경영인(CEO)들은 계사년(癸巳年)의 신년사에서 한결같이 “함께 위기를 극복하자”라는 다짐으로 운을 떼었다. 올해 세계경제 부진으로 경영환경이 어려운 데다 국내 정치환경 변화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CEO들은 내실을 다지는 정도(正道)경영을 앞세우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세계경제는 올해도 저성장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며 삼성의 앞길도 순탄치 않아서 험난하고 버거운 싸움이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회장은 이어 “불황기에는 기업경쟁력의 차이가 확연히 나타나며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다”면서 임직원에게 도전의식을 일깨웠다. 이 회장은 투자계획과 관련, 지난해의 47조 8000억원보다 더 늘어날 가능성을 내비쳤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올해 경영전략으로 ‘품질을 통한 브랜드 혁신’을 제시하며 “2013년은 유럽재정 위기와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국내외 시장환경이 매우 어려울 것”이라면서 “질적인 성장을 통해 내실을 더욱 강화하고 미래를 위한 경쟁력 확보에 집중해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회장은 올해 자동차 판매 목표를 741만대, 현대제철의 생산을 1200만t으로 제시했다.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우리의 화두는 시장 선도와 철저한 실행”이라면서 “세계시장을 뒤흔들 수 있는 시장 선도 제품을 반드시 만들어 내자”고 강조했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세계 철강업계의 어려움을 전하면서 “이제 가격경쟁이 아니라 가치경쟁을 통해 경쟁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시장 리더십과 수익성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며 임직원을 독려했다.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은 “위기가 상시화되는 불확실한 시장상황에서는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투자 관리를 통해 내실경영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사업환경이 불확실할수록 내실 있는 성장, 질적인 성장에 대해 더욱 많은 고민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동희 대우인터내셔널 부회장도 “망설이지 말고 또 주저하지도 말고 어려운 환경에 적극 대응해 나가자”고 말했다.

이지송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은 “올해 화두로 화이능취(和以能就)를 제시한다”면서 “함께 화합하고 힘을 모아 어려운 경영환경을 극복하고, 경제 활성화와 국민 행복이라는 LH의 소명을 이뤄가자”고 말했다. SK그룹을 새로 이끌고 있는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은 “모든 구성원이 한마음 한뜻, 즉 동심동덕(同心同德)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성민 SK텔레콤 사장은 경영 화두로 거문고 줄을 바꾸어 매며 긴장을 늦추지 않는다는 뜻의 ‘해현경장’(解弦更張)과, 실질을 중히 여기고 실천에 힘쓴다는 의미의 ‘무실역행’(務實力行)을 내세웠다. 이석채 KT 회장은 “외부 도움이나 오너십 변동, 구조조정 없이 임직원의 노력으로 도전을 극복하자”고 주문했다.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은 “올해는 비 온 뒤 죽순이 땅을 뚫고 나오는 강한 기운처럼 ‘욱일승천’(旭日昇天)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한화그룹은 김승연 회장이 구속수감 중인 상황이라 시무식은 물론 신년사도 없었다.

김경운 기자·산업부 종합

kkwoon@seoul.co.kr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2013-01-0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