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채무상환능력 더 떨어져” 은행대출 문턱도 5년來 ‘최고’
경기 침체에 수도권 집값이 떨어지면서 가계의 신용위험이 2003년 카드 사태 이후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은행들의 대출 문턱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아질 전망이다.
한 자릿수대였던 가계의 신용위험지수는 지난해 2분기 22로 높아지더니 3분기 28, 4분기 31 등으로 계속 오르고 있다. 한은 측은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의 채무상환능력이 떨어지는 것에 대한 우려가 심화됐다”고 설명했다. 기업의 신용위험도 악화돼 대기업은 13, 중소기업은 34를 기록했다.
신용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은행의 대출태도는 더 보수적이 됐다. 은행의 대출태도지수는 지난해 4분기 2에서 올해 1분기에 -2로 바뀌었다. 2009년 4분기(-4) 이후 3년여 만의 마이너스 전환이다. 대출태도지수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대출을 늘리겠다는 응답보다 줄이겠다는 응답이 많은 것을 뜻한다. 중소기업(-3)은 물론 대기업(-6)에 대한 대출도 줄이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은행들이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으로 위험관리에 치중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대기업 대출 수요는 유동성 확보를 이유로 전분기(6)보다 대폭 높아진 16을 기록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3-01-0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