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인터넷 이용률 84.1%…세계 21위

한국 인터넷 이용률 84.1%…세계 21위

입력 2013-08-21 08:52
수정 2013-08-21 08: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08년 이후 증가세 둔화, 전세계 평균 35.7%

지난해 우리나라의 인터넷 이용률은 84.1%로 세계 21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인터넷 이용률은 독일(84.10%), 프랑스(83.00%), 호주(82.35%), 미국(81.03%) 등 대부분의 서구 선진국보다 높았다. 일본(79.05%)은 33위였다.

21일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사용자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4.10%로 전 세계 211개국 가운데 스물한번째로 높았다.

한국의 인터넷 이용률은 지난 2000년 44.70%에 불과했으나, 2002년 59.40%, 2004년 72.70%, 2008년 81.00%로 매년 급증했으며, 이후 2010년 83.70%, 2011년 83.80%로 증가세가 둔화했다.

한국의 순위는 2004년 세계 5위였으나 이후 2010년 12위, 2011년 15위 등으로 계속 하락해왔다.

이는 최근 수년간 리히텐슈타인(11위), 카타르(12위), 바레인(13위), 모나코(15위), 안도라(17위) 등 인구가 적은 소국들의 이용률이 가파르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영국령 포클랜드제도는 96.92%로 5년째 1위를 지켰으며, 아이슬란드(96%), 노르웨이(95%), 스웨덴(94%), 덴마크(93%), 네덜란드(93%) 등 주로 북유럽 국가들이 상위에 랭크됐다.

최하위는 아프리카 동북부에 있는 에리트레아(0.80%)였으며, 동티모르(0.91%), 미얀마(1.07%), 부룬디(1.22%), 시에라리온(1.30%) 등의 순으로 낮았다. 북한은 집계되지 않았다.

전 세계 평균 인터넷 이용률은 35.7%로 잠정 집계됐는데 올해는 38.8%까지 상승할 것으로 ITU는 전망했다.

지난해 선진국은 평균 73.4%, 개발도상국은 27.5%이었으며, 지역별로는 유럽 71.2%, 미주 57.2%, 아시아·태평양 46.4%, 아프리카 14.3%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가구 비율은 37.4%였으며, 선진국은 74.0%, 개도국은 24.0%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