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7월말 기준 42.6%…지난해 말보다 1.2%P 줄어
박근혜 정부가 ‘창조경제’를 강조하고 있지만 금융시장에서 기술·창업기업에 대한 홀대는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대출 중 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물론 저신용등급에 대한 대출도 현 정부 출범 이후 오히려 줄었다.
한국은행이 4일 국회에 보고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올 7월 말 기준 중소기업 대출 중 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2.6%로 지난해 말 43.8%보다 1.2% 포인트 줄어들었다. 저신용등급(7~10등급)에 대한 대출 비중도 지난해 말 4.93%에서 7월 말 4.75%로 0.18% 포인트 줄어들었다.
한은은 “금융기관이 우량기업 및 담보대출 위주로 자금을 공급하면서 신용도와 담보력이 취약한 기술·창업기업 등의 자금 사정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은 올 상반기에 지난해 말보다 15조 7000억원 늘어났다. 늘어난 대출 대부분이 신용등급이 높거나 담보가 있는 중소기업들에 흘러들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빠르게 늘어 올 7월 말 현재 1300억 달러를 기록했다. 경제성장률 둔화와 저금리 기조 등으로 국내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상황에서 주요 신흥국의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한 경우가 늘어난 것이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자국 주식투자 편중도는 2011년 말 89%로 선진국 평균 63%에 비해 낮은 편이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3-10-0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