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 가치(shareholder value)의 극대화’가 자유시장 경제의 시대정신으로 여겨지던 때가 있었다. 기업의 주인은 주주인 만큼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곧 기업의 살길이라는 논리였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너나 할 것 없이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들은 1년 후라는 가까운 미래를 위해 단기실적 향상에 매달렸다. 기업은 재투자에 동의해 준 주주들에게 매년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이라는 방법으로 고마움을 표시했다. 동시에 경영자들은 천문학적인 연봉이라는 성과보수를 받았다. 문제는 주주와 경영인의 암묵적 동맹이 유지되는 사이 외형적으로만 거대해진 기업은 부실해졌고, 사회적 불평등도 늘어났다는 점. 장부 속 이윤을 늘리기 위해 기업은 비용을 줄였다. 노동자를 비정규직으로 대체하고 투자를 줄였다. 2008년 ‘월가의 탐욕이 부른 참사’를 겪은 미국 이야기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기업이 사회적 책임은 외면한 채 극단적으로 이윤만을 추구했을 때 나온 결과이기도 하다. 우리는 자신 있게 ‘남의 나라 이야기’라고 할 수 있을까. 그나마 다행인 점은 이 같은 위기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을 고민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그랬다. 냉정하게 말하면 사회공헌은 기업의 시혜가 아니다. 기업이 사회 속에서 지속 가능한 경영기반을 만든다는 의미에서 보면 기업 본연의 경제활동이자 투자다. 임기 중 11만명의 노동자를 해고한 GE 전 회장 잭 웰치가 “주주가치는 이 세상에서 제일 바보 같은 아이디어”라고 뒤늦은 후회를 한 이유이기도 하다. 2013년 연말, 사회적 책임을 위해 뛰는 우리 기업들의 모습을 들여다봤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3-12-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