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그룹간 양극화 심화…삼성그룹 ‘독주 체제’

재벌그룹간 양극화 심화…삼성그룹 ‘독주 체제’

입력 2014-04-02 00:00
수정 2014-04-02 14: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대재벌 전체 영업이익 증가 대부분 삼성 몫현대중공업 네토막, GS와 한진은 아예 적자 전환

지난해 10대 재벌그룹의 절반 이상이 실적 악화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대중공업은 영업이익이 74%나 줄어 네 토막이 났고, GS와 한진은 영업손실을 보며 적자전환했다.

그러나 10대재벌 전체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6%가량 늘었다. 증가폭 대부분은 ‘삼성 몫’이다. 재벌들 사이에서도 양극화가 심해졌다는 얘기다.

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금융사를 제외한 12월 결산법인들을 기준으로 삼았을 때 지난해 삼성그룹 상장 계열사(13개)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모두 38조1천906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의 33조960억원보다 15.4% 늘어난 금액이다. 삼성전자 영업이익이 29조493억원에서 36조7천850억원으로 26.6%(3조1천247억원) 증가한 것이 컸다.

SK그룹(16개) 영업이익도 8조7천842억원에서 11조3천963억원으로 29.7% 많아졌다.

주력 계열사인 ㈜SK와 SK이노베이션의 실적이 악화했지만, SK하이닉스가 전년보다 흑자 전환하면서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덕분이다.

LG(11개)와 롯데(7개) 영업이익도 8.9%와 6.9%씩 늘었다.

다만, 롯데그룹의 경우 영업이익 증가에도 순이익은 2012년 1조7천711억원에서 작년 1조5천498억원으로 12.5% 감소했다. 롯데쇼핑의 순이익이 1조1천576억원에서 8천806억원으로 23.9% 급감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최근 유동성 위기설에서 벗어난 두산그룹(6개)의 경우 영업이익이 같은 기간 7천992억원에서 1조1천549억원으로 44.5%나 급증했지만, 순이익은 2천15억원에서 1천302억원으로 35.3% 줄었다.

그러나 나머지 5개 그룹은 모두 전년도보다 영업이익이 줄었다.

특히 현대중공업그룹(3개)의 실적 악화가 두드러졌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영업이익이 2012년 2조1천283억원에서 2013년 5천488억원으로 74.2%나 쪼그라들었다.

같은 기간 매출액도 64조8천575억원에서 63조2천564억원으로 2.5% 감소했고, 2012년에는 1조1천686억원의 순이익을 냈지만 2013년에는 126억원 순손실을 봤다.

한화(3개) 역시 작년도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9천974억원과 1천573억원으로 전년도보다 21.4%와 62.8%씩 줄었다.

GS(8개)와 한진(5개)은 각각 763억원과 4천202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나란히 적자전환했다.

GS그룹은 GS건설의 저가수주 문제가 불거지면서 순이익 측면에서도 1천427억원 순손실을 냈다. 다만, GS그룹의 경우 그룹 내 비중이 가장 큰 GS칼텍스가 비상장사여서 실적 집계에서 빠져 있다.

대한항공 등을 계열사로 둔 한진그룹은 1조7천427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해 적자폭이 확대됐다.

이밖에 작년 내내 엔저 공세에 시달렸던 현대차그룹(9개)도 영업이익이 17조7천912억원에서 17조3천456억원으로 소폭(2.5%) 줄었으나, 순이익은 오히려 19조329억원에서 20조306억원으로 5.2% 많아졌다.

작년 10대 그룹 81개 상장사가 거둔 영업이익은 모두 78조3천801억원으로 전년의 73조6천497억원보다 6.4%, 4조7천304억원 늘었다.

이는 삼성그룹 영업이익 증가폭(5조946억원)보다도 적은 금액이다.

전체 영업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삼성그룹이 48.7%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현대차(22.1%), SK(14.5%), LG(8.6%), 롯데(3.2%), 두산(1.5%), 한화(1.3%), 현대중공업(0.7%) 등이 뒤를 따랐다.

국내총생산(GDP)과 비교하면 10대 그룹 상장사 영업이익은 작년 명목 GDP(1천428조3천억원)의 5.5%에 해당했다. 2012년 5.3%보다 0.2%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