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투자가 지역경제 살린다] 부여군 “롯데 진출 기회로 삼아야” 상인회 “우리도 변해야…승산 있다”

[기업투자가 지역경제 살린다] 부여군 “롯데 진출 기회로 삼아야” 상인회 “우리도 변해야…승산 있다”

입력 2014-09-11 00:00
수정 2014-09-11 01: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롯데 진출로 지역 상인들과 마찰이 많았는데 지금은 ‘자극이 된다,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기운(왼쪽) 부여군 지역경제부흥과 과장은 인터뷰 도중 흡사 백과사전만한 두툼한 파일을 꺼냈다. 다른 부서에 있다가 지역경제부흥과로 옮기자마자 ‘롯데 이슈’가 터져 “속깨나 끓였다”며 고개를 흔든다. 유통업체 유치는 양날의 칼이다. 한쪽에서는 경쟁력을 잃은 지역 상권의 몰락을 가속한다는 비난이 들끓고 다른 한쪽에선 좀 더 나은 편의시설을 원하는 지역민의 박수가 쏟아진다.

부여군은 모든 목소리를 수용하고자 롯데 진출을 앞두고 지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70% 가까이 되는 응답자가 “지역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이 과장은 “사실 현재도 군민 중 40%가 대형 쇼핑센터가 있는 군산, 대전 쪽으로 원정쇼핑을 가는 상황”이라며 “롯데 진출이 가려운 곳을 긁어준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롯데리조트와 아웃렛으로 몰려 오는 관광객의 발길을 읍내로 돌리기 위해 부여군도 애쓰고 있다. 상권활성화를 위해 국비사업에 공모해 3년간 6억씩 총 18억을 확보했다. 지난 6월엔 전국 야시장 공모 사업에 응모해 5억원의 지원금을 받았다. 부여를 대표하는 부여시장이 경주, 제주 등지에 있는 전통시장 5곳과 함께 선정돼 새 도약을 준비 중이다.

자연스레 상인들 입에선 “우리도 변해야 한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김일호(오른쪽) 부여시장상인회 회장은 “당연히 롯데가 들어오니 읍내 상권이 예전 같지 않아 지역 내에서 반발이 심했던 게 사실이지만 부여시장 상인들은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백마)강 건너편 리조트와 아웃렛에 들른 관광객들을 어떻게 하면 이곳으로 끌어들일 것인가가 요즘 최대 고민거리”라고 덧붙였다.

2년 뒤면 100주년이 되는 부여시장은 제2전성기를 꿈꾸고 있다. 두 번의 재개발 시도가 번번이 무산된 끝에 몇 년 전 시설 현대화를 진행했지만 옛 정취는 온데간데없어 아쉬움을 남겼다. 김 회장은 “야시장 프로젝트에 선정된 만큼 시골다운 장터, 진짜 전통시장의 멋과 맛을 제대로 줄 수 있게 만들면 승산이 있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부여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4-09-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