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저유가로 원유 수입비용↓…GDP의 2.4%”

“한국, 저유가로 원유 수입비용↓…GDP의 2.4%”

입력 2014-12-09 00:00
수정 2014-12-09 09: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제성장에 ‘긍정적’…일본·중국·미국 등도 원유수입 비용↓쿠웨이트·사우디·러시아 등은 수출 대금 감소

저유가로 말미암아 우리나라가 국내총생산(GDP)의 2.4%에 이르는 원유 수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로디움그룹과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자료를 인용해 최근 국제 유가가 배럴당 60달러대까지 떨어진 데 따른 주요 에너지 수입국의 비용 절감 효과 및 주요 에너지 수출국의 수입 감소 효과를 보도했다.

원유를 주로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인도, 일본 등은 유가 하락의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우리나라는 GDP의 2.4%에 해당하는 원유 수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분석 대상국 중 가장 혜택이 클 것으로 분석됐다.

원유 수입 비용이 줄어드는 것은 경제 성장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수입 비용이 감소하면 새로운 투자를 할 수 있는 여력이 생길 뿐 아니라 원유 관련 제품의 가격 하락으로 이어져 소비자들의 소비 여력이 커질 수 있게 된다.

인도와 일본도 각각 GDP의 1.8%와 1.2%에 해당하는 원유 수입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독일, 중국(이상 0.8%), 미국(0.5%)도 저유가에 따른 수혜국으로 분류됐다.

반면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들을 포함한 산유국들은 수입이 크게 줄어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효과가 있을 전망이다.

가장 타격이 심할 국가는 쿠웨이트로 원유 수출 대금 감소가 GDP의 18.1%에 이른다.

지난달 OPEC 회의에서 원유 생산 축소에 반대하며 동결 결정을 이끌었던 사우디아라비아도 GDP의 15.8%에 해당하는 수출 대금 감소가 예상됐다.

이라크(GDP 대비 13.6%), 베네수엘라( “ 10.2%), 아랍에미리트( “ 8.6%), 나이지리아( “ 5.4%), 러시아( “ 4.7%) 등도 원유를 팔아 벌어들이는 수입이 크게 줄 것으로 예측됐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저유가가 글로벌 경제 성장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데 정책 전문가들이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스탠리 피셔 부의장은 저유가를 “공급 쇼크”라고 부르며 미국의 경제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제통화기금(IMF)도 미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을 3.1%에서 3.5%로 올렸다.

유럽중앙은행(ECB)의 마리오 드라기 총재도 “(세계 경제에) 명백하게 긍정적”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월스트리트저널은 일부 경제학자들은 최근 유럽의 부진, 중국의 성장동력 약화 등과 맞물려 글로벌 성장의 우울한 신호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