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총수가 사외이사 임명 철저한 감시 기대하기 어려워
롯데 일가의 경영권 다툼이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소유와 경영을 분리 감시해야 할 이사회가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중국에서 1조원의 손실을 냈다는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의 얘기를 듣고 자신을 제외한 일본 롯데홀딩스 이사진 6명을 모두 해임하겠다며 사태에 불을 지폈다. 문제는 신 총괄회장이 임원 해임과 같은 중요한 안건을 이사회 논의 없이 구두로 홀로 결정했다는 점이다. 그가 중국 사업에 대해 몰랐다는 주장도 앞뒤가 맞지 않는다. 신 총괄회장은 중국 사업을 진행해 온 롯데쇼핑 이사회의 대표다. 신 총괄회장의 기억이 잘못되지 않았다면 그가 이사회 대신 비선 보고에 의존해 왔다는 사실을 고스란히 인정한 셈이다. ‘거수기’ 이사회는 롯데만의 문제는 아니다. 앞서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 매입 당시 시세보다 3배 비싼 매입가를 불렀는데 이사회는 발표 전날 이 사실을 아는 데 그쳤다.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는 “총수 일가는 대부분 적은 지분으로 황제 경영을 일삼고 있지만 사실상 총수가 이사를 임명하는 구조에서는 제대로 된 (이사회의) 감시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롯데 전체 자본금 중 신 총괄회장이 보유한 지분은 0.05%, 정 회장의 현대차 지분은 3.4%에 불과하다.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8-0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