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가 인도 라자스탄산업개발투자공사(RIICO)와 함께 뉴델리에서 110㎞ 떨어진 길롯에 106만㎡(약 32만평) 규모의 한국 전용공단을 한창 조성하고 있다. 일본이 2006년 조성한 님라나 일본 전용공단 근처에 있다. 일본은 이곳에 제2의 전용공단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공단은 한국의 산업단지와 비슷한 모습이지만 한국 공단은 바닥 다지기와 1단계 전력설비를 갖춘 채 공터로 남아 있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18일 인도 라자스탄주 길롯에 조성 중인 한국 전용공단의 입구로 건설 자재를 실은 화물차가 들어가고 있다.
길롯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달 18일 인도 라자스탄주 길롯에 조성 중인 한국 전용공단의 입구로 건설 자재를 실은 화물차가 들어가고 있다.
길롯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99년 동안의 임대권을 분양하는 조건으로 한국 공단 부지 분양가는 3.3㎡당 8250~9900루피(약 14만~18만원)이다. 델리로부터 100㎞ 거리인 바리 분양가(3.3㎡당 2만 1450루피·약 37만원)의 절반 수준이다.
코트라와 동행한 한국 기업인들은 “현지 공무원의 기업 유치 의지나 땅값, 인프라 측면에서 십수년 전 중국에 공장을 세울 때보다 나쁜 조건”이라고 입을 모았지만, 중국의 인건비와 땅값이 오른 현재의 관점에서 보면 다른 나라에 이만한 조건도 없다는 게 딜레마다.
길롯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5-12-0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