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을 제외한 매출액 상위 200대 기업의 25%가 임금피크제 도입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200대 기업(응답기업 179개사)을 대상으로 ‘임금피크제 도입 현황 및 특징조사’를 실시한 결과 임금피크제 도입을 완료한 기업이 51.4%에 달했다. 나머지 23.5%의 기업은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한 협상이 진행 중이었다. 반면 25.1%는 제도 도입을 위한 논의 자체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완료한 기업 가운데 47.8%는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이미 제도를 도입한 기업은 2014년 21.7%, 2015년 21.7%를 차지했다.
자동호봉승급제를 운영하는 기업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비율(55.3%)이 자동호봉승급제가 없는 기업의 도입 비율(40.5%)보다 높게 조사됐다. 경총은 기업들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게 된 주요 이유가 자동호봉승급제로 부담이 생겼음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분석했다.
또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 가운데 74%가 기본급(기본연봉)을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연봉을 조정하는 곳도 24%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기업의 기존 정년은 평균 57세로 나타났고 기존 정년이 55세라고 응답한 비율이 34.6%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200대 기업(응답기업 179개사)을 대상으로 ‘임금피크제 도입 현황 및 특징조사’를 실시한 결과 임금피크제 도입을 완료한 기업이 51.4%에 달했다. 나머지 23.5%의 기업은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한 협상이 진행 중이었다. 반면 25.1%는 제도 도입을 위한 논의 자체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완료한 기업 가운데 47.8%는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이미 제도를 도입한 기업은 2014년 21.7%, 2015년 21.7%를 차지했다.
자동호봉승급제를 운영하는 기업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비율(55.3%)이 자동호봉승급제가 없는 기업의 도입 비율(40.5%)보다 높게 조사됐다. 경총은 기업들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게 된 주요 이유가 자동호봉승급제로 부담이 생겼음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분석했다.
또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 가운데 74%가 기본급(기본연봉)을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연봉을 조정하는 곳도 24%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기업의 기존 정년은 평균 57세로 나타났고 기존 정년이 55세라고 응답한 비율이 34.6%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