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12일 농협중앙회장 선거
농협중앙회가 8년 만에 회장 교체를 앞두고 있다. 농협중앙회장은 전국 농업인 284만명을 대표하며 ‘농민 대통령’으로 불릴 만큼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는 자리다. 대통령 선거 못지않게 치밀한 전략과 지역적 연대가 요구된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농협중앙회장에 도전장을 던진 후보는 6명이다. 후보자들 간의 수 싸움이 치열하다. 지금까지는 ‘3강(强)’ 구도로 불리지만 내년 회장 선거 당일(1월 12일)까지 판세를 쉽사리 예측할 수 없는 것이 농협중앙회장 선거의 특징이다.
지역을 넘어 경기와 영·호남 지역대결 구도로 확장해 보면 최 조합장이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영남(경북·경남·부산·대구·울산)의 대의원 숫자(87명)가 가장 많아서다. 호남(전북·전남·광주)은 62명이다. 경북 지역에서는 “그래도 차기 회장은 영남 사람이 해야 한다”는 정서가 팽배하다. 최 조합장은 6명의 후보자 중 유일한 현직 조합장이라는 점에서 ‘농민과 가장 가까운 후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파산 직전의 가야농협을 일으켜 세워 거대 조합으로 성장시킨 경영능력도 강점이다.
2007년과 2011년 선거에서 접전 끝에 ‘석패’했던 김 전 대표를 중심으로 호남권 표심이 똘똘 뭉칠 가능성도 높다. 김 전 대표는 이번에 중앙회장 ‘3수’(三修)에 나서는 만큼 ‘동정표’를 어느 정도 가져갈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여기에도 변수가 있다. 바로 충청권이다. 충북(18명)과 대전·충남(37명) 등 충청권은 전체 대의원의 약 19%를 차지한다. 최근 선거에서도 충청권은 표가 분산되지 않고 특정 후보에게 힘을 실어 주며 ‘캐스팅보트’ 역할을 했다. 농협의 한 관계자는 “지역 소속 대의원 숫자에서 밀려도 충청권 표심을 얻는 후보가 차기 회장에 성큼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7월부터 5개월간 진행된 검찰의 농협 비리 수사는 마무리됐지만 일부 후보에 대한 비위 의혹 및 자격 논란 시비가 수그러들지 않는 점도 걸림돌이다. 농협에서 최장기(7년) 감사위원장을 지낸 이 전 감사위원장은 농협의 주요 이권사업에 대한 감사를 소홀히 했다는 의혹에 시달리고 있다. 이를 통해 최 회장 측근에게 특혜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이 전 감사위원장은 펄쩍 뛴다. 이 전 감사위원장이 농협 조합원 자격 요건(1000㎡ 이상 농지를 1년 중 90일 이상 경작)을 이미 상실해 회장 선거에 출마할 수 없다는 주장도 있다.
선거 당일 2차 투표에서 ‘반전’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농협중앙회장 선거는 1차 투표에서 50% 이상을 득표하지 못할 경우 1차 투표 1, 2순위자가 2차 투표에서 다시 맞붙는다. 이 때문에 종종 ‘역전 드라마’가 펼쳐지곤 한다. 1차 투표 직후 2~3순위 후보가 연대하며 표를 한쪽으로 몰아주는 경우가 많아서다. 최 회장도 2007년 말 선거 당시 2차 투표에서 역전에 성공해 당선됐다. 당시 최 회장은 유력 후보로 거론조차 되지 않았었다.
농협 관계자는 “(역대 선거 결과를 돌이켜보면) 유력 후보가 당선된다는 보장도 없고 막판까지 누가 될지 예측할 수 없는 게 농협중앙회장 선거의 묘미”라면서 “과거 중앙회장들이 비리 연루로 모두 구속된 아픔이 있는 만큼 후보들의 도덕성이 중요한 잣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12-3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