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콜버스 정식운행 7월로 또 미뤄진다

서울 콜버스 정식운행 7월로 또 미뤄진다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6-03-31 18:22
수정 2016-04-01 11: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달 밤 11시부터 시범운행… 강남·서초·송파 우선 운영 운행

지역·시간 여전히 이견

5월부터 서울 강남(강남·서초·송파구)에서 밤 11시부터 다음날 새벽 4시까지 심야콜버스가 시범운영된다. 5~6월 두 달간 시범운행을 거쳐 7월부터는 정식 운행에 돌입하는데 서울시가 반대하고 있어 운행 구간이 현재로서는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되기 어려워 보인다.

31일 서울법인택시조합과 콜버스랩 등에 따르면 양측은 다음달쯤부터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권역에서 밤 11시부터 다음날 새벽 4시까지 심야콜버스를 시범운영하기로 했다. 택시조합에 따르면 13인승 쏠라티 콜버스가 현재 주문에 들어가 4월 중순부터 출고되는데 계획대로라면 5월부터 시범운행이 가능하다.

콜버스 요금은 수익성을 고려해 정액제 대신 기존 야간 택시의 60~70% 수준인 3000원에서 거리에 비례해 부과하기로 했다. 서울택시조합과 콜버스랩 측은 7월에 정식 운행을 할 때부터는 서울시 전역에서 운행하기로 합의했지만 서울시가 택시노조 등의 반발을 고려해 반대하고 있다.

박복규 전국택시연합회장은 “대당 5500만원에 달하는 차량 구매를 서울시가 지원해 주는 것도 아니면서 왜 운행 시간과 지역을 제한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서울 강남 일대뿐 아니라 광화문, 종로에서도 밤에 손님이 부르면 가는 게 맞다. 서울시가 적자를 메워 줄 것도 아닌데 불필요한 규제를 만들지 말고 업계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병종 콜버스랩 대표는 “서울 강남 3구에만 운영하면 사업성이 없어서 결국 심야 콜버스는 고사할 수밖에 없다”면서 “7월에 서울 전 지역 확대로 정식 운행에 들어가는 것으로 택시업계와도 합의했는데 서울시가 왜 다른 얘기를 하는지 답답하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법제처 심사 중인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안에서 콜버스 운행 시간 범위를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4시 사이에서 자유롭게 정할 수 있도록 했다. 국토부는 운행 지역을 제한하지 않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시가 심야콜버스 운행 지역을 3개구로 제한한다고 해서 제한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을 서울시 측에 제시한 만큼 정식 운행 때는 서울 전역으로 확대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6-04-0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