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상승세 전환…美 원유생산 감소 등 원인

국제유가 상승세 전환…美 원유생산 감소 등 원인

입력 2016-04-13 09:59
수정 2016-04-13 09: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주 국제유가가 미국 원유 생산과 재고 감소 소식 등으로 인해 상승세로 돌아섰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13일 발표한 4월 첫째주(4일~8일) 현물 유가 보고서에 따르면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 4일 배럴당 34.84달러에서 8일 36.71달러로 올랐다.

두바이유 가격은 산유국 간에 생산량 동결 합의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 등이 나오면서 3월 하순에는 소폭 하락세를 보였다.

4월 첫째주 들어 반등에 성공한 두바이유 가격은 12일 배럴당 38.67달러를 기록하는 등 5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미국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은 전날보다 1.81달러(4.5%) 상승한 배럴당 42.1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높은 마감 가격이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6월 인도분 브렌트유도 전 거래일보다 1.85달러(4.3%) 뛴 배럴당 44.68달러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미국의 원유 생산 및 원유 재고 감소 소식과 러시아의 원유 생산도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공급과잉에 대한 우려가 일부 완화됐다”며 “4월 17일로 예정된 산유국의 생산 공조 회의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커지는 점도 유가 하락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북미 키스톤 송유관이 가동 중단된 점도 지난주 유가 상승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됐다.

송유관 회사 트랜스캐나다는 지난 2일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미국 오클라호마주를 연결하는 키스톤 송유관이 파열돼 가동을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키스톤 송유관의 수송 능력은 하루 59만배럴이다.

4월 다섯째주 미국 원유재고는 전주보다 490만배럴 감소한 5억2천990만 배럴로 집계됐다.

휘발유 재고는 전주 대비 140만배럴 증가한 2억4천400만배럴을 기록했고 경유 생산 원료 등으로 쓰이는 중간유분의 재고는 1억6천302만배럴로 전주보다 180만배럴 증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