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회계업계에 따르면 국내 ‘빅4’ 회계법인 중 한 곳인 안진의 워크아웃팀 소속 핵심 인력 상당수가 경쟁업체인 EY한영으로 자리를 옮길 예정입니다. 이들은 이달 초부터 이직을 위한 물밑 협상을 해 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안진 측은 “해당 임직원들의 이직은 결정된 바 없다”면서도 “회계업계는 원래 이직이 잦아 회계사 몇 명이 나간다 해도 큰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대우조선해양 부실감사 책임으로 안진이 더는 산업은행 발주 물량을 따낼 수 없게 되면서 인력 이탈 우려가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안진은 지난 3월 대우조선해양의 지난해 영업손실 5조 5000억원 가운데 2조원가량을 2013년과 2014년 재무제표에 반영했어야 했다며 뒤늦게 정정 요구해 부실감사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산은은 안진을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했고 안진은 기존에 맡았던 현대상선 실사와 금호타이어 매각 자문 실사, 성동조선 구조조정 모니터링 등의 업무에서 배제됐습니다.
회계업계의 한 관계자는 “통상 회계사들은 자신만의 전문 분야가 있어 이직해도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산은팀’이라고 불릴 만큼 일감의 대부분을 산은에서 받아 온 것으로 알려진 안진의 워크아웃팀 회계사들의 경우 회계법인 간판만 바꿔 달면 고객 유지와 책임 회피가 어렵지 않다는 의미로도 풀이됩니다.
부실회계 논란이 터질 때마다 자본시장 파수꾼 역할을 해야 할 회계법인에 솜방망이 처벌만 내려진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습니다. 지난해 금융위원회는 대우건설에 3800억원대의 분식회계가 있었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대우건설에는 20억원, 삼일회계법인에는 10억 6000만원의 과징금만 부과했습니다. 관련 회계사 2명에게는 일부 회사에 대해서만 1년간 감사 업무 제한 징계가 내려졌습니다.
끊임없이 반복되는 부실감사 논란을 지금과 같은 안일한 징계와 대처로 근절하는 게 가능할지 금융당국과 회계업계가 함께 고민해 봐야 할 때입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6-05-3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