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日상장설 네이버 ‘라인’ 거품과 도약 사이 외줄타기

7월 日상장설 네이버 ‘라인’ 거품과 도약 사이 외줄타기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6-06-02 22:52
수정 2016-06-02 23: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도 직후 주가 4.58%급락 “기업가치 예상 밑돌 가능성”

성장 둔화·신규 시장 난항
업계·증권가 “광고 시장 개척”


네이버의 모바일 메신저 ‘라인’의 상장 작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라인을 운영하는 네이버 자회사 라인주식회사가 이르면 7월 일본에서 상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데 이어 업계와 증권가에서도 라인의 연내 기업공개(IPO)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상장을 앞두고 점쳐지는 기업 가치가 업계의 예상에 한참 못 미치면서 네이버의 ‘라인 리스크’가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지난 1일 라인의 7월 상장설을 보도한 이후 네이버의 주가는 유가증권시장에서 4.58%나 급락했다. 2일 1.46% 오른 69만 70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일단 반등에는 성공했지만, 상장설이 나오자 곧바로 주가가 급락한 것은 라인의 기업 가치가 예상을 크게 밑돌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예상한 라인의 시가총액은 600억엔(약 6조 4373억원)이다. 국내 증권가에서는 라인의 기업 가치를 8조~10조원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라인의 기업 가치가 네이버의 시가총액(23조원)에 맞먹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왔다.

‘기대 이하’인 라인의 기업 가치는 라인의 성장 둔화 가능성 때문이다. 2011년 6월 출시된 라인은 일본과 대만에서 ‘국민 메신저’로 자리잡으면서 출시 5년 만에 누적 이용자 10억명을 돌파했다. 그러나 최근 1~2년 사이 이용자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다. 지난해 1분기 처음으로 2억명을 돌파한 라인의 월 실사용자 수(MAU)는 올 1분기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30만명이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일본과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 주력 국가 이외에 신규 시장 확대가 이뤄지지 않아 1년간 4개 국가의 이용자는 1억 2330만명에서 1억 5160만명으로 성장세를 이어 갔지만 그 외 국가에서는 8180만명에서 6690만명으로 오히려 줄었다. 지난해 2분기에는 설립 4년 만에 처음으로 매출 역성장을 경험했고 4분기에는 영업적자를 내기도 했다. 2014년 처음 라인의 상장설이 불거졌을 때 예상됐던 기업 가치는 10조원이었으나 2년 만에 40% 가까이 떨어졌다.

그러나 업계와 증권가에서 전망하는 라인의 성장 가능성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네이버가 PC에 기반한 포털에서 모바일로 체질 개선에 성공한 데다 라인이 광고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어서다. 오동환 삼성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11월 도입한 라인 타임라인 광고 매출이 본격화하는 등 올해 광고 매출이 90% 정도 성장할 것”이라면서 “페이스북, 텐센트(위챗) 등 글로벌 모바일 플랫폼과 비교하면 라인의 성장 전망은 높다”고 말했다. 라인의 최대 시장인 일본에서도 성장 가능성은 여전하다. 네이버 관계자는 “고령인구 비중이 높은 일본에서는 아직 구형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인구가 많아 이들이 스마트폰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용자 증가의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

라인은 네이버의 전체 매출 중 30% 이상을 담당하는 해외 매출의 지렛대다. 네이버는 올해 초 네이버의 재무를 담당하는 황인준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일본으로 보내 라인을 진두지휘하게 했다. 일본에서는 지난 4월 알뜰폰(MNVO) 시장 진출을 선언하고, 태국에서는 지난달 음식과 편의점 상품 등을 배달하는 O2O(온·오프라인) 서비스 ‘라인맨’을 내놓는 등 신규 사업도 공격적으로 펼치고 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6-0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