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KCON’ 5주년 행사 후끈…콘서트·체험장 등 7만여명 북적
“엄청 매운데 자꾸 먹게 돼요. 이 맛을 잊지 못할 것 같아요.”
CJ 제공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LA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KCON 2016 LA’ 행사에서 스타일리스트가 20대로 보이는 한 여성에게 눈 화장을 해 주고 있다. 그 옆으로 젊은 여성들이 길게 줄지어 서 있다.
CJ 제공
CJ 제공
인근 컨벤션센터에서도 KCON 행사가 진행됐다. 한쪽에서는 사전 오디션을 통과한 참가자들의 결선 무대가 펼쳐졌고, 다른 쪽에서는 K뷰티 체험전 등이 열렸다. 참가 기업 중 한 곳인 오앤영코스메틱의 ‘캔디 오 레이디’는 품절 사태까지 발생했다. 한국에서 가져온 5000개가 이틀 만에 모두 팔렸다. 오세준 오앤영코스메틱 대표는 “현장 반응은 기대 이상이었다”면서 “뉴욕에서 온 바이어는 ‘제품이 예쁘다’면서 협력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2012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시작된 KCON이 5주년을 맞았다. KCON은 우리 문화를 해외에 알리기 위해 마련된 행사로 첫해 1만명에 불과했던 관객이 7만 5000명까지 늘었다. 1만 2000석의 좌석을 가득 메운 콘서트 현장은 열기로 후끈 달아올랐다. 음식 교실, 한글 배우기, 케이팝 커버댄스(춤 따라하기) 현장도 북적댔다. 이 행사를 주관하는 CJ E&M의 이상길 부사장은 30일 열린 간담회에서 “한국 문화를 여러 형태로 알릴 수 있는 콘텐츠를 담고자 했다”고 말했다.
김현준 CJ 부사장은 ‘한류의 일상화’(한류 4.0)를 선언했다. “드라마(한류 1.0)에서 시작된 한류가 케이팝(2.0), K뷰티·K무비(3.0) 등으로 확장됐지만 여전히 일부 마니아 중심의 문화에 그친다”면서 “한류를 전 세계인의 일상생활에 녹아들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해마다 2~3편의 한국 영화를 보고, 매달 2~3번 한식을 맛보고, 매주 1~2편의 한국 드라마를 보며, 매일 1~2곡의 한국 음악을 듣는 등 일상에서 한국 문화를 즐기는 것을 말한다. 김 부사장은 “2020년부터 KCON 행사를 연 10회로 늘리고 연간 40만명이 한류를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로스앤젤레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8-0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