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대 김장 채소 재배지 가운데 하나인 전남의 배추와 무 생산량이 대폭 줄면서 김장비용이 치솟을 것으로 보인다.
15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의 가을 배추 재배 면적은 1만1429㏊로 지난해보다 10.2%, 평년(5년간 최대치와 최소치를 뺀 나머지 해의 평균)보다 2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 배추 재배면적은 3488㏊로 작년보다 2.4%·평년보다 12.0% 줄었다. 가을 무 재배 면적(5414㏊)도 작년 대비 6.2%, 평년 대비 19.3% 감소했다.
전남은 전국 가을배추 재배면적의 26%, 겨울 배추 95%, 가을무 19%를 차지한다. 예상 생산량도 가을배추가 126만 4000t으로 작년보다 12.0%, 평년보다 16.3% 줄었다.
겨울 배추 생산량(31만 1000t)은 작년 대비 2.5%·평년 대비 8.8%, 가을무(44만 6000t)는 작년 대비 14.1%, 평년 대비 19.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재배면적과 생산량 감소는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가을배추 포전(밭떼기) 거래 가격은 3.3㎡당 8000~9000원, 겨울 배추는 9000~1만원에 형성됐다. 지난해 가격은 5000~6000원이었다. 무는 지난해 4000~5000원에 거래됐지만, 올해는 6000~9000원이었다.
무는 ㎏ 당 915원으로 지난해 가격(445원)의 두배를 넘는다. 파종기 기상이 좋지 않은 탓에 재파종을 하기도 해 물량이 부족한 상황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대체로 수학능력시험(17일)이 끝나면 주부들이 중부권부터 김장을 준비한다”며 “본격적인 김장철에 농협이나 유통업체 물량이 집중적으로 출하되면 가격이 다소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15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의 가을 배추 재배 면적은 1만1429㏊로 지난해보다 10.2%, 평년(5년간 최대치와 최소치를 뺀 나머지 해의 평균)보다 2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 배추 재배면적은 3488㏊로 작년보다 2.4%·평년보다 12.0% 줄었다. 가을 무 재배 면적(5414㏊)도 작년 대비 6.2%, 평년 대비 19.3% 감소했다.
전남은 전국 가을배추 재배면적의 26%, 겨울 배추 95%, 가을무 19%를 차지한다. 예상 생산량도 가을배추가 126만 4000t으로 작년보다 12.0%, 평년보다 16.3% 줄었다.
겨울 배추 생산량(31만 1000t)은 작년 대비 2.5%·평년 대비 8.8%, 가을무(44만 6000t)는 작년 대비 14.1%, 평년 대비 19.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재배면적과 생산량 감소는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가을배추 포전(밭떼기) 거래 가격은 3.3㎡당 8000~9000원, 겨울 배추는 9000~1만원에 형성됐다. 지난해 가격은 5000~6000원이었다. 무는 지난해 4000~5000원에 거래됐지만, 올해는 6000~9000원이었다.
무는 ㎏ 당 915원으로 지난해 가격(445원)의 두배를 넘는다. 파종기 기상이 좋지 않은 탓에 재파종을 하기도 해 물량이 부족한 상황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대체로 수학능력시험(17일)이 끝나면 주부들이 중부권부터 김장을 준비한다”며 “본격적인 김장철에 농협이나 유통업체 물량이 집중적으로 출하되면 가격이 다소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