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성장률 전망치보다 0.1%P 높아…“한국 기업 수익성 개선되기는 어려워”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 중 한 곳인 무디스가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2.1%로 전망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 2.0%보다 조금 높아 내년엔 한국 경제가 소폭 나아진다고 내다봤지만 미중 무역분쟁과 홍콩 사태 등으로 한국 기업들의 수익이 개선되긴 어렵다고 예상했다.크리스티안 드 구즈만 무디스 정부신용평가 담당 전무는 19일 미디어 브리핑에서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은 기저효과 등으로 올해보다 미미하게 나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구즈만 전무는 “수출, 특히 반도체에서 수출량이 크게 축소되는 양상을 보이지 않고 바닥을 치고 올라갈 것”이라며 “정부의 재정·통화정책으로 국내 수요도 꽤 안정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정부가 확장 기조를 제안해 앞으로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42%까지 올라갈 것으로 보는데 이 정도 부채비율은 국가신용등급에 직접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한국은 수출에 의존하는 국가여서 미중 분쟁과 홍콩 사태 등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무디스는 같은 이유로 내년에 한국 기업들의 수익성이 나아지기가 어렵다고 전망했다. 크리스 박 무디스 기업평가 담당 이사는 “전반적인 세계 경기 둔화와 무역분쟁 지속으로 한국 수출 주도 기업들의 올해 수익성이 악화했는데, 내년에도 일부 개선될 여지는 있으나 개선 폭은 제한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중 분쟁으로 화학과 정보통신기술(ICT) 업종이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며 “철강, 화학, 정유는 경기 둔화와 업황 침체 영향으로 수익성이 안 좋다”고 진단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9-11-2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