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전통과 기술을 갖추고 있으면서 끊임없이 발전하는 소공인 133개사를 ‘백년소공인’으로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백년소공인은 열악한 작업환경과 빠르게 변화하는 제조환경 속에서도 장인 정신을 갖고 한 분야에서 15년 이상 업력을 이어온 소공인 중에서 발굴된다.
백년소공인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백년소공인
국가 지정 식품명인 6호인 박재서 명인이 운영하는 ‘명인 안동소주’는 본인만의 독특한 비법과 국내산 쌀만을 이용해 향이 깊고 부드럽다. 국내를 넘어 미국, 호주, 싱가포르 등으로 수출돼 글로벌 경쟁력도 인정받고 있다.
부산 최초의 양복점인 ‘국정사양복점’은 앞서 2005년 명장으로 선정된 양창선 대표가 운영하고 있다. 기존의 맞춤양복뿐 아니라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활동성 높은 정장을 개발하거나 잠수함 근무복을 만들어 해군 군수사령부에 납품하는 등 제조영역을 꾸준히 확장해 나가고 있다.
‘방화선부채연구실’은 국내 유일의 여성 선자장(전통 부채를 만드는 기술과 기능을 보유한 장인)인 방화선 대표가 부친에게서 전수받은 기술을 이어가고 있다. 국민이 멀게 느낄 수 있는 전통부채를 부채 전시관과 체험관을 통해 소개해 대중성을 높이고, 생산라인을 구축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등 끊임없이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기부는 지난해 100개사, 올 9월엔 111개사를 선정해 지금까지 총 334개사를 백년소공인으로 인증했다. 백년소공인은 인증 현판과 확인서뿐 아니라 컨설팅과 시설개선 같은 지원을 받는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