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북한경제리뷰 보고서

AP 연합뉴스
북한 농민들이 모내기 하는 모습.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최용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30일 한국개발연구원(KDI) 북한경제리뷰에 게재한 ‘북한 식량 수급 분석을 위한 통계 현황과 시사점’ 논문에서 북한의 식량 상황을 나타낸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 통계의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FAO 분석에서는 성인 1인이 1700㎉에 해당하는 열량을 식량으로부터 섭취하고, 나머지 열량은 식량이 아닌 식품(채소·고기·생선·과일 등)을 섭취해 보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면서 이런 추정이 실제 섭취 습관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FAO는 북한 주민들이 쌀·옥수수·보리·밀·대두·감자 등 식량으로 하루치 열량의 70% 이상을 채운다고 가정해 식량 소요량을 계산하는데, 최근 고기와 생선 등의 소비가 늘어 실제 식량 소요량은 줄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최 부연구위원은 또 경사지와 텃밭에서의 생산량이 조사 불가 등을 이유로 최근 집계에 전혀 반영되지 않은 점도 통계의 정확성을 떨어트리는 요소로 지적했다.
FAO의 북한 식량 생산량 통계에서 텃밭 생산량은 2014년까지 매년 7만 5000t으로 계산되다가 이후부터는 통계에 반영되지 않고 있다. 경사지 생산량은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줄곧 20만t을 유지할 정도로 유의미한 비중을 차지했지만, 2017년부터는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최 부연구위원은 북한의 2018년 11월∼2019년 10월 식량 부족량을 약 158만t으로 추정하면서도 “경사지 및 텃밭 생산량이 반영되지 않은 점과 최근에 가까워질수록 비식량 식품의 가용성이 확대된 부분을 고려한다면 이보다는 북한의 식량 사정이 좋을 것”이라고 추론했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