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계획 올해 말 확정·고시 계획
2030 엑스포 유치와 별도로 개항

가덕도신공항 건설 조감도.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국토교통부는 24일 가덕도신공항의 적기 개항을 위해 공항건설을 전담할 조직에 대한 연구 결과로 건설공단 신설 방안이 최적 대안으로 제시됐다고 밝혔다. 공단 신설은 관계부처 협의 등을 통해 추진하며, 관련 법안이 국회 상임위에서 심사 중이다.
가덕도신공항은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국제공항이다. 2065년 기준 국제선 여객 2326만명, 화물 33만 5000t 항공 수요가 전망된다. 활주로, 여객·화물터미널이 건설되고 공항 접근도로·철도 건설, 물류·상업시설 등을 위한 장래 활용부지도 조성한다.
건설사업의 기본계획은 올해 말 확정·고시될 계획이다. 부산 강서구 가덕도 일대 육지와 해상에 걸쳐 총면적 666만 9000㎡ 규모로 건설하는 것이 기본계획의 골자다. 내년 12월 착공에 들어가 2030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전인 2029년 12월 개항한다는 목표다. 다만 엑스포 유치가 계획가 어긋나더라도 가덕도신공항 건설 일정은 변동이 없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건설방식은 두 가지로 나뉘어 부지조성은 단일공구 설계시공 일괄입찰(턴키)을 적용한다. 여객터미널은 국제현상 공모 후에 설계·시공 병행방식 등을 도입한다. 운영은 국제선을 중심으로 하며 세부 계획은 개항 2~3년 전에 확정된다.
총사업비는 약 14조원 규모로 추정되나 국가재정법에 따라 관계기관 협의 후 확정될 예정이다. 현재는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정용식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기본계획 수립 절차를 완료하고 총사업비 협의를 마무리 지어서 로드맵대로 계획을 끝낼 계획”이라면서 “내년 말 착공까지 여러 장애물이 있을 수 있지만 차질 없이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가덕도신공항 접근교통망 계획안.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