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스마트TV 기능으로 무장한 신개념 인터넷(IP)TV 서비스를 내놓고 스마트TV 플랫폼 사업의 진출을 선언했다.
이미지 확대
11일 LG유플러스 홍보도우미들이 ‘LG U+ TV 스마트7’ 서비스를 통해 서울신문 홈페이지 접속을 시연하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1일 LG유플러스 홍보도우미들이 ‘LG U+ TV 스마트7’ 서비스를 통해 서울신문 홈페이지 접속을 시연하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LG유플러스는 11일 서울 신문로 LG광화문빌딩에서 기존 IPTV에도 TV용 앱스토어(응용 프로그램의 장터)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유플러스TV 스마트7’ 서비스의 출시를 발표했다. 그동안 삼성전자, LG전자 등 제조사 중심이었던 스마트TV 시장에 통신네트워크 사업자인 LG유플러스가 처음 도전하는 것이다.
유플러스TV 스마트7의 특징은 기존 셋톱박스 펌웨어(기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만으로 기존 IPTV에서 스마트TV 기능을 바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그동안 TV나 주문형비디오(VOD) 시청 위주로 한정됐던 IPTV가 진정한 양방향 서비스로 거듭나게 됐다.”고 설명했다.
기존 IPTV의 경우 제한된 상품에 한해 쇼핑할 수 있거나 메뉴에 구성된 한정된 기능만을 이용할 수 있었지만 스마트7 서비스를 통해서는 자유로운 쇼핑, 애플리케이션으로 확장된 기능 등이 가능해진 것이다.
가장 돋보이는 스마트TV 기능은 이용자들이 TV앱스토어에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아 TV를 통해 즐길 수 있는 것. 이를 위해 게임, 학습, 동화 등 플래시 콘텐츠 80여개를 확보하고 플랫폼을 개방함으로써 외부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콘텐츠를 등록해 판매할 수 있도록 했다.
LG유플러스는 향후 TV앱스토어를 자사의 모바일 앱스토어인 ‘오즈스토어’와도 연계해 더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7 서비스에 구현시킬 방침이다. 또 TV를 통해 PC처럼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풀 브라우징 서비스도 제공한다. 기존 IPTV에서는 이미 설정된 사이트만 제한적으로 접속할 수 있었다.
자유로운 인터넷 풀브라우징 서비스 이용을 위해 리모컨에 ‘핑거마우스’ 기능을 탑재해 간단한 터치만으로 메뉴 선택이나 웹서핑을 할 수 있게 했다. 스마트폰용 리모컨 애플리케이션도 함께 출시했다.
아울러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별도의 기기 연결 없이도 TV, PC, 전자액자 등 여러 기기에서 감상할 수 있다. TV 시청 중 언제든지 상품을 검색해 구매할 수 있는 T커머스 기능도 추가됐다.
스마트7 서비스는 이날부터 시작되며 기존 유플러스TV 가입자의 경우 올해 말까지 순차적으로 셋톱박스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제공된다. 이용요금은 일부 초기 셋톱박스 교체비용과 신형 리모컨 비용 1000원을 제외하면 기존 유플러스TV 요금과 동일하다.
이정식 홈솔루션 사업본부장은 “스마트TV 사업의 핵심은 네트워크”라면서 “고객 서비스 측면에서 LG유플러스가 제조사들보다 더 강점을 지니고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0-11-1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