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단 편의점… 코로나에도 매출 ‘쑥쑥’

날개 단 편의점… 코로나에도 매출 ‘쑥쑥’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1-10-04 20:20
수정 2021-10-05 0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와인·신선식품 등 상품 다양화 큰 영향
올 8월 오프라인 유통 중 매출 비중 1위
출점 경쟁 탓 점포당 매출은 증감 반복

이미지 확대
오프라인 유통채널 편의점이 코로나19 속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의 ‘8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을 보면 편의점은 온라인을 제외한 오프라인 유통채널 중 대형마트(32.0%)와 백화점(28.6%), 기업형슈퍼마켓(SSM·6.4%)을 제치고 매출 비중 1위(33.0%)를 차지했다. 그간 대형마트와 백화점에 밀려 만년 3위였으나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지난 4월 대형마트를 제쳤고, 지난 7월부터는 명품 호황을 앞세운 백화점도 넘어섰다. 편의점은 올해 1~8월 내내 전년 동월보다 매출이 성장한 유일한 오프라인 유통 채널이기도 하다. 백화점은 지난 1월 전년 동월보다 6.3% 감소한 뒤 2~6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3월 정점을 기록한 뒤에는 둔화세다. 대형마트와 SSM은 성장과 감소를 반복하고 있다.

편의점 상승세의 주된 이유는 ‘취급 상품의 다양성’이다. 과거 편의점이 과자나 담배, 음료 등 간단한 물품을 급하게 구입하는 채널이었다면 최근에는 와인, 위스키, 신선식품 등 대형마트에서나 볼 수 있었던 상품도 구매할 수 있는 곳으로 거듭났다. 이런 변화가 코로나19 확산과 맞물리면서 편의점은 ‘집 근처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유통 거점’으로 떠올랐고, 이후 폭발적인 성장을 이어 갈 수 있었다.

편의점 업계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속속 내놓는 등 상품기획(MD) 강화에 회사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품절 대란’을 일으키며 화제를 모았던 CU의 ‘곰표맥주’, 올해 초 출시된 뒤 누적 판매 1000만개를 기록한 GS25의 빵 브랜드 ‘브레디크’, 농심의 ‘새우깡’을 제치고 자체 스낵 판매 1위에 올랐던 세븐일레븐의 ‘허니버터팝콘’ 등이 대표적이다.

올 들어 편의점 3사의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점포당 매출액이 전년 동월과 비교해 증감을 반복하는 점은 고민거리다. 지난 8월 편의점 점포당 매출은 5288만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97만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 간의 출점 경쟁 등 양적인 성장에 치중했던 점이 원인이다.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는 양적 경쟁 대신 히트상품 개발 등을 통한 수익성 개선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2021-10-0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