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법 경매현장 가보니
“우와!” 함성소리가 터졌다. 경매법정에서 한동안 사라졌던 소리다. 2일 오전 서울 서초동 중앙지방법원 211호는 100여명의 사람들로 메워졌다. 50대 남성이 “500만원을 먹었다.”며 법정을 나섰다. 서울 길음동 소재 대지지분(66㎡)을 500만원 차이로 낙찰받았다는 얘기다. ‘부동산 대출 연 4.7~5.1%’라는 명함을 든 금융권 대출 담당자들은 이 남성의 뒤를 우르르 쫓았다. 법정 복도는 한 대학원 부동산강좌 수강생 50여명으로 북새통을 이뤘다. 이들은 강사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귀 기울이며 정보책자에 밑줄을 그었다. 법정 앞쪽에선 까치발을 한 일부 참여자들의 모습도 눈에 띄었다. 꽁꽁 얼어붙은 부동산시장이란 표현이 무색할 정도였다. 복도에서 마주친 소형 경매업체 관계자는 “지난주에 이어 이번 주도 입찰 참가자들이 많이 몰려들었다.”며 “3개월 전부터 경매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고 전했다.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경매 진행건수는 8156건으로 2006년 11월 이후 4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 1월(6543건) 대비 24.7% 상승했다.
경매가 진행된 서울 중앙지법에선 낙찰을 반기는 함성소리가 터지며 이런 분위기가 잘 드러났다. 아파트와 근린상가, 토지 등 60건이 경매 물건으로 올라와 이중 48건에 대한 경매가 진행됐다. 낙찰건수는 20건(41.7%), 낙찰가는 애초 감정가의 80.6%에 달했다.
경매 실습을 왔다는 60대 여성은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선 낙찰가의 80%까지 연리 5% 아래로 대출이 가능해 보증금과 잔금, 등기료만 부담하면 큰돈 없이 투자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전세금이 치솟으면서 아예 내집 마련에 나선 소시민들도 눈에 띄었다. 결혼 3년째인 30대 남성은 “세 차례 유찰된 아파트를 낙찰받으면 현재 살고 있는 전세금에 조금만 보태 내집을 마련할 수 있어 직장에 월차를 내고 참여했다.”고 말했다. 이날 대부분의 아파트 낙찰가율은 애초 감정가의 80~90%를 넘어 인기를 방증했다. 서울 신림동의 한 다가구주택은 감정가의 113%선에서 낙찰가가 결정됐다.
현장 전문가들의 시각은 조금 달랐다. 한 대학원 부동산강좌 강사는 “지난 5월 이미 부동산시장은 바닥을 쳤지만 경매시장은 외부 시각과 달리 과열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사설 대행업체의 변모 실장도 “1억원 안팎이던 아파트가 세 차례 유찰을 거쳐 4000만원 안팎까지 떨어진 곳도 상당수”라며 “최근 집이나 상가를 필요로 하는 실수요자들이 몰리면서 이전처럼 경쟁률이 세진 않다.”고 말했다. 100여명이 법정을 메운 중앙지법의 응찰자는 59명에 불과해 낙찰 건당 경쟁률은 2.95대1에 불과했다. 4년 전 경매 열풍과는 달랐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0-11-0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