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매매 전년 동기비 16.6%↑ 증가폭 1월 117.4%서 크게 꺾여
넉 달 연속 주택 거래량이 늘고 있다. 다만 증가세는 줄어들고 있어 정부가 지난 2월 26일 발표한 전·월세 임대소득에 대한 과세 강화 방침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1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주택 매매거래는 9만 2691건으로 4개월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6%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4만 3002건)은 29.2%, 지방(4만 9689건)은 7.5%로 수도권의 증가 폭이 더 컸다. 서울(1만 3689건)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1% 늘었다.
그러나 강남 3구(1870건)는 고작 3.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수도권의 경우 3월과 비교한 거래량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수도권 전체가 2.1% 감소했고 서울은 5.3% 줄었다. 특히 강남 3구도 22.5%가 줄어 감소 폭이 더 컸다.
계약일에 따른 거래량을 보면 4월에 신고한 9만 2691건 가운데 2월 계약분이 1만 7493건(18.9%), 3월 계약분이 4만 7339건(51.1%), 4월 계약분이 2만 7236건(29.4%)이었다. 부동산 매매거래는 계약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신고하면 돼 한두 달 뒤에 거래량으로 잡히기도 한다.
거래량은 증가해도 주택 매매 거래 증가율은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월별 증가율은 1월 117.4%에서 2월 66.6%, 3월 34.2%, 4월 16.6%로 하향세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월별 거래량 증가율로 주택 거래 추세를 읽는 게 바람직하다”면서 “거래 증가세가 주춤해진 것은 과세로 매물을 내놓기 꺼린다는 이야기인데다 대표적 시세 지표인 강남 3구를 포함한 수도권 시장이 감소했다는 것은 이를 방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 거래량은 16.4%, 단독·다가구주택은 13.5%, 연립·다세대주택은 19.7% 각각 늘었다. 거래 금액별로는 수도권에서는 3억~4억원(41.5%), 4억~6억원(45.1%)대, 지방에서도 3억~4억원(43.1%), 4억~6억원(58.6%)대의 주택이 거래가 가장 많이 늘었다.
전국의 주요 아파트 단지 실거래가격은 강남권 재건축 단지나 수도권 일반단지, 지방 주요단지 등에서 모두 약보합세를 보였다. 서울 송파구 잠실의 주공5차 76.5㎡(11층)는 지난달 11억 3700만원에 거래되다 이달에는 11억 1000만원으로 떨어졌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4-05-1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