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스마트공장 3.0’ 사업 시작
100억씩 3년간 총 300억원 투입
자동화 구축 마친 3000곳 고도화
지역발전에 10년간 3.6조원 투자

삼성전자 제공
지난해 11월 삼성전자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받은 부산 소재 도금 기업 동아플레이팅의 제조 현장을 방문한 이재용(가운데) 삼성전자 회장이 현장 임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는 모습.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중소기업 제조 현장을 지능형 공장으로 고도화하는 ‘스마트공장 3.0’ 사업을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은 ‘같이 나누고 함께 성장하는 것이 세계 최고를 향한 길’이라는 이재용 회장의 ‘상생 경영’ 철학에 따라 추진해 온 삼성전자의 대표적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사업이다.
삼성전자는 1단계 사업으로 2015년 경북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을 지원하기 시작한 뒤 2016년부터 이 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했다. 지난해까지 8년간 전국 3000여개의 중소기업이 삼성전자의 지원을 받아 스마트공장을 구축했다.
삼성전자는 새롭게 시작하는 3단계 사업에서는 이미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해 기초 데이터 기반 자동화 시스템을 갖춘 업체들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추진한다. AI 기술을 활용해 생산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분석해 현장의 문제점에 선제 대응하고 이를 개선하는 ‘지능형 공장’ 수준으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3기 사업을 추진하면서 중소기업의 성장에서 나아가 지역균형발전에도 방점을 뒀다. 인구소멸 위험 지역에 있는 중소기업을 우선 지원해 기업의 성장에 따른 지역 인재 취업 기회를 확대하고, 궁극적으로 해당 지역을 인구소멸 위기에서 벗어나도록 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사업을 전담하는 별도 조직도 구성해 안전한 작업 환경 조성, 에너지 절감과 친환경 소재 활용을 통한 탄소배출 감소 등 중소기업이 자체 역량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분야를 지속적으로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을 비롯해 앞으로 10년간 총 3조 6000억원을 중소기업 지원 및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상생 프로그램에 쓸 예정이다. 이는 삼성이 지난 3월 발표한 지역균형발전 60조 투자에 포함되지 않은 별개의 사회공헌 사업에 해당한다.
그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과 동행을 강조해 온 이 회장은 회장직 취임 직후인 지난해 11월 스마트공장 지원을 받은 부산 소재 도금기업 ‘동아플레이팅’을 방문해 “건강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상생의 선순환을 이뤄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 회장은 전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중소기업인대회에서도 “경기가 어렵지만 우리 모두가 원팀이 돼 노력하면 이 긴 터널도 곧 지나가리라 믿는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을 강조했다.
2023-05-2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