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당포 최씨/박대출 논설위원

[씨줄날줄] 당포 최씨/박대출 논설위원

입력 2010-03-19 00:00
수정 2010-03-19 0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나라엔 286개 성씨(姓氏)가 있다. 귀화인은 제외된 수치다. 본관(本貫)은 4179개다. 2000년 기준 통계청 자료다. 1985년부터 15년간 새 성씨는 없다. 그런데 본관은 15개 늘었다. 한양 강(姜)씨, 장지 김()씨, 태백 김()씨, 덕산 박(朴)씨, 하화 박(朴)씨, 웅천 방(方)씨, 제천 백(白)씨, 한밭 서(徐)씨, 태안 석(石)씨, 홍주 석(昔)씨, 대전 여(呂)씨, 익산 염(廉)씨, 달성 임(林)씨, 달성 범(苑)씨, 강화 증(曾)씨 등이다.

성씨는 한 혈통을 잇는 족속(族屬)을 일컫는다. 우리나라 성씨는 중국 영향을 많이 받았다. 분화 과정을 거치면서 고유한 특징도 늘어났다. 본관은 시조(始祖)가 난 곳이다. 분파해 본관을 새로 내기도 한다. 성과 본관 체계는 고려때 확립됐다. 940년 태조 왕건이 호족들에게 성씨를 하사하면서다.

성씨와 본관은 남계(男系) 중심이었다. 통상 아버지 성을 따랐다. 조상이 같아도 성을 달리하기도 했다. 성이 같아도 조상이 다른 경우도 있다. 때론 어머니성을 이어받는다. 2008년부터 호주제가 폐지되면서 늘었다. 배우 최진실씨가 자녀의 성을 변경한 것도 한 사례다. 중국은 2500여개의 성이 있다. 일본은 10만개가 넘는다. 우리나라 최초의 성씨는 선우(鮮于)라고 한다. 중국에서 가장 오랜 성은 ‘강(姜)’이다. 강태공이 시조다.

필리핀 출신 이주여성 최인해(崔仁海·31)씨. 최근에 첫 ‘당포 최씨’가 됐다. 원래 이름은 아제니쓰 에이치레이에스. 그녀는 전남 해남군 화원면 당포마을에 산다. 당포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식으로 개명(改名)했다. 성은 남편 최성욱씨의 성씨를 따랐다. 이름은 ‘어질 인(仁), 바다 해(海)’로 지었다. 갯내가 물씬 풍긴다.

해남군이 무료 개명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주여성 지원사업의 일환이다. 현재 이곳에는 이주여성 403명이 산다. 131명이 한국 국적을 취득했다. 49명은 아직 한국식 이름이 없다. 군은 이들의 개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해남의 읍·면이나 마을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가 줄을 잇게 됐다. 삼산 김씨, 화산 이씨, 현산 박씨, 황산 강씨, 송지 정씨….

우리도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국내에 사는 외국인이 100만명을 넘었다. 한국 국적과 한국 이름은 이들이 자긍심을 갖도록 하는 원천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출발에 불과하다. 모자란 2%를 채운 게 아니다. 진정한 한국인으로 가는 길은 멀다. 그들을 보듬는 마음도, 제도도 갖춰야 할 때다.

박대출 논설위원 dcpark@seoul.co.kr
2010-03-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