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진옥 인제대 기초대 교수
우리는 20~30년간 회화 중심 영어 교육을 해 왔는데 과연 무엇을 얻었는가? 아직 영어로 수업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교사가 60%가 넘고 있고 심지어 대학에서도 모든 수업 내용에 대해 영어로 유창하게 진행하기란 어렵다. 마침 정부는 지난 8월 새 교육과정 개정안을 최종 확정지었다. 이에 의하면 영어의 네 가지 기능인 말하기·듣기·읽기·쓰기 모두를 강조하고 있고 특히 표현 중심 영어 교육을 중점 지도하도록 하고 있으니, 이제야말로 실용 영어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필자가 벌인 설문 조사에 따르면 새 교과 과정 개정이 능사가 아니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영어 교과과정 개정보다 더 중요한 것은 영어의 네 가지 기능을 지도하도록 기능별 수업시간을 확실하게 배당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새 교육과정에 항목별로 수업 시간을 배당해 주지 않고 그냥 이론적인 내용만 명시해 놓는다면 일선 현장에서 그 항목을 가르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시간수가 배당이 안 되는 경우, 일선 교사들이 수업 시간 외에 특별 시간을 내어서 가르쳐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영어 수업 시간 수도 늘려야 한다고 현장 교사들은 입을 모았다. 영어 쓰기 지도는 영어의 네 가지 기능을 모두 갖춘 통합적인 능력이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린다는 것이다.
대학의 교과과정도 개혁되어야 한다. 현재의 영어 교과 과정을 전면 개편하여 실용 영작문이나 비즈니스 영작문 강좌를 대폭 증설할 것을 촉구한다. 종전의 영어 회화 중심 강의에서 영작문 중심의 강의로 일대 전환해야 한다. 오늘날 세계 영어 교육의 추세는 영어 쓰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글로벌 시대에 영어 능력이란 사람과 사람이 만나지 않고 이메일로 의사 전달을 하는 능력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이웃 중국에서는 이미 20여년 전부터 영어 쓰기 시험을 대입시험에 포함하고 있다. 필자가 영국에서 안식년을 보낼 때 느낀 점은 세계 여러 나라 학생들 가운데 유난히 한국 학생들만 영어 쓰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 같았다. 우리 대학은 아직도 영어 회화 강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영작문 강좌는 소수에 지나지 않는 것도 대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 저하의 커다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제 세계는 모든 것을 이메일을 사용하여 영어로 전달하는 1일 생활권 시대이다.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이 내게 영향을 미치므로 영어 회화 능력뿐 아니라 쓰기 능력이 부족하면 소통에 차질을 빚는다. 따라서 글로벌 시대에 다른 국가들과 대등하게 경쟁하려면 대학에서 운영해 왔던 종전의 문법이나 회화 중심의 교과 과정을 재개편하고 영문학 위주의 교과과정 내용을 실용영어 교육 내용으로 보완, 탈바꿈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는 이상 새 교과 과정이 개정되었다고 해도 무용지물이 될지도 모른다.
2011-09-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