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해품달’과 한류/이은주 문화부 기자

[지금&여기] ‘해품달’과 한류/이은주 문화부 기자

입력 2012-02-25 00:00
수정 2012-02-25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은주 문화부 기자
이은주 문화부 기자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이하 ‘해품달’)이 지난 23일 전국 시청률 40%를 돌파하며 마침내 국민 드라마 반열에 올라섰다. 시청률 20%를 성공의 기준으로 삼는 드라마 시장에서 40%는 좀처럼 쉽게 오르기 힘든 고지다. 특히 요즘처럼 뉴미디어가 발달되고 TV 본방송을 챙겨보는 시청자 수가 줄어드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하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도 ‘해품달’이 국민드라마에 등극한 이유는 뭘까. 물론 훌륭한 원작과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가 뒷받침되었겠지만, 무엇보다 주인공 훤과 연우의 죽음도 갈라놓지 못한 애틋하고 순수한 첫사랑의 이야기가 극의 중심을 탄탄하게 떠받치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이 온 세상을 빠르게 휘감는 2012년의 벽두부터 다소 진부해 보이기까지 하는 첫사랑을 소재로 한 사극이 인기를 끄는 것은 무척 흥미로운 지점이다. 독설 화법이 유행하는 요즘 시대에 “잊어달라 하였느냐. 잊어주길 바라느냐. 미안하구나. 잊으려 하였으나 너를 잊지 못하였다.”처럼 고전적인 대사가 회자되는 것 또한 되새겨 볼 일.

얼마 전 해외 출장 때 만난 외국 방송사 기자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줬다. 그녀는 한국 드라마가 아시아는 물론 전 세계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이유를 바로 이 고전적인 가치에서 찾았다.

그녀는 “한국 드라마에는 순애보적인 사랑, 인간에 대한 예의, 가족 간의 정이 기본적으로 깔려 있다. 이런 가치는 같은 동양 문화권에서도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태국에서 무례한 행동과 발언으로 도마에 오른 한 신인 아이돌 그룹의 추태는 유감스럽기 짝이 없다. 하지만 이런 일은 이전부터 예고되어 온 사태였을지도 모른다.

한류 관련 콘퍼런스가 열릴 때마다 현지의 한류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경제적 이익만을 노리는 K팝 가수들의 상업성에 대해 경고했다. 준비 없는 무분별한 해외 공략은 지금 불붙는 K팝의 확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무엇이 한류의 진정한 가치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때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2-02-2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