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국민이 멘붕 상태이다. 국민과의 약속을 뒤로한 채 홀연히 떠난 안철수 현상이란 신기루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아 인터넷만 계속 검색하며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분들이 많았다. 나도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영화 ‘늑대소년’이 관객 600만명을 돌파했다는 소식을 접했다.
이미지 확대
방귀희 솟대문학 발행인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방귀희 솟대문학 발행인
‘늑대소년’이 이렇게 조용한 돌풍을 일으키는 이유는 뭘까? 그것은 영화 ‘늑대소년’이 주고 있는 메시지에 국민들이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늑대소년은 세상이 버린 특별한 존재로 사람들은 그를 괴물이라고 멀리하며 제거하려고 한다. 하지만 늑대소년은 인간이 갖고 있지 않은 가장 소중한 신의를 갖고 있다. 늑대소년은 자신에게 사랑을 준 사람을 지키기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는 희생적인 존재이다. 오직 그 사람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평생을 바친다.
주인이 “기다려, 다시 올게.”라는 쪽지를 두고 떠났는데 그 약속을 믿고 무려 47년 동안이나 기다린다. 긴 세월 속에서 얼굴 가득 주름이 움푹 파여(소녀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괴물이라고 한탄) 옛모습은 찾아볼 수 없지만 소년은 이렇게 말한다. “여전히 아름답습니다. 똑같습니다. 눈도, 코도, 입도” 바로 이것이 늑대소년만이 갖고 있는 아름다운 시각이다.
우리 인간은 지키지도 못할 약속을 너무나 쉽게 한다. 자기가 한 약속을 하찮게 여겨 아주 쉽게 약속을 깬다. 약속을 깨고 나서도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는 뻔뻔함이 있다. 사람이 이렇게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은 상대방을 소중히 생각하지 않아서다. 늑대소년은 소녀가 자기보다 더 소중했기에 소녀와의 약속 또한 귀중했던 것이다.
그리고 사람은 변화를 눈으로만 보지 마음으론 보지 못한다. 마음이 변하지 않았으면 현상학적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났다 해도 그 진정성은 그대로 믿고 받아들여야 하는데, 사람은 그런 믿음을 갖기가 어렵다.
영화 ‘늑대소년’에서 가장 많이 나온 말이 “기다려”인데 이 말도 현대인에게 강한 메시지를 준다.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가장 부족한 것은 인내심이다. 지금 당장 손에 넣지 않으면 실패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과정은 생략하고 빨리빨리 서둘러서 모든 것을 자기가 소유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기다리는 것을 싫어한다. 하지만 기다리지 못하는 조급함 탓에 우리가 얼마나 많은 것을 잃고 있는지를 생각해 봐야 한다. 그런데 우리가 기다리지 못하는 것은 바로 약속을 지키지 않기 때문이다. 약속한 것은 반드시 지켜진다는 확신을 갖고 있다면 얼마든지 기다릴 것이다. 그러니까 약속에 대한 신뢰가 형성돼야 한다.
한 편의 영화에서도 이렇게 중요한 메시지를 국민들에게 주고 있는데, 국민을 위해 나라를 경영하겠다는 정치인이 국민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강력한 메시지 없이 자신을 선택해 달라고 지지를 호소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늑대소년을 생체학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세상에서 소외된 존재라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소년이 보여준 변함없는 사람에 대한 사랑과 신뢰가 우리 사회를 성숙시키는 동력이라는 문화적 현상에 동의한다면 국민이 진정으로 원하는 지도자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2012-11-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