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다은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나의 경험에 따르면 방학 땐 매일 쓰는 일기부터 독후감, 체험학습 보고서, 작품 완성 및 제출 등 학기 중보다 더 어렵고 많은 양의 숙제가 생긴다. 장기 휴가라는 방학에 이렇게 많은 숙제가 있다는 것은 모순이 아닐까. 과연 이 숙제를 다 해야만 우리가 유익한 방학을 보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여름휴가를 떠나는 직장인에게 업무 숙제를 준다면 우리의 사정을 이해할 수 있을까.
방학이지만 우리의 스케줄은 학기 중과 크게 다르지 않다. 많은 친구들이 학교 수업 이상으로 학원에서 시간을 보낸다. 그런데 학원 수업에 많은 양의 숙제까지 더해지니 방학이 좋지만은 않다. 실제로 나와 친구들은 방학보다 학기 중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의 학생들은 진정한 의미의 방학을 즐기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해외 선진국에서는 방학 기간이 길어 아르바이트로 번 돈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한다고 들었다. 방학 과제는 자유주제를 줘 본인이 하고 싶은 것을 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와는 정말 다르다.
내가 지금까지 보낸 방학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가족, 친구들과의 여행이다. 우리는 가까운 사람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새로운 경험을 할 때 밀린 방학 숙제를 할 때보다 더 많은 성취감을 느낀다. 여행 등 평소 하지 못하는 것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시간을 보낸다면 우리의 방학은 더 유익해질 것이다. 평소 익숙하지 않은 것을 하거나 새로운 환경에 놓였을 때 잠재능력이 깨어난다고 배웠다. 방학 때 학습능력을 유지하는 것도 좋지만 우리의 새로운 자아를 깨우는 일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우리는 숙제가 없어도 방학을 잘 보낼 수 있는 힘이 있다. 방학 때 무엇을 하고 싶은지, 무엇을 할 때 행복한지 각자 다르다. 모두가 똑같은 숙제를 하는 대신 방학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고 그것을 해 본다면 방학이 달라질 것이다. 나에게 필요한 것을 직접 계획하고 선택할 수 있을 때 우리 방학은 진짜 방학이 된다.
*서울신문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함께 어린이, 청소년의 시선으로 사회 현안을 들여다보는 ‘아이eye’ 칼럼을 매달 1회 지면에, 매달 1회 이상 온라인에 게재하고 있습니다.
2019-08-02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