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일곱 번째 작별 인사/김연아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일곱 번째 작별 인사/김연아

입력 2018-02-23 17:26
수정 2018-02-24 01: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곱 번째 작별 인사/김연아

스피릿이 간다, 화성의 혼이 되어
망가진 바퀴를 끌고
외로운 문장처럼 기우뚱거리며
분화구 가장자리를 따라간 흔적


너의 행성은 아직도
불 같은 땅과 어두운 바람을 섞고 있니?
하늘이 젖을 물리듯 여기는 봄눈이 내렸어
네가 빛을 향해 전지판을 펼쳤을 때
이곳의 모니터엔 너의 지평선이 나타났어


그곳은 답답하고 광활하고, 안이 없고 밖이 없지
내 종족의 언어로 만들어진 순례자
너는 쉬이 늙어가고 눈도 나빠졌지
더 이상 종료 명령을 내릴 수도 없는데
네 눈은 지구의 밤으로 슬프게 열려 있다


지금은 너의 탯줄을 매달 시간
별빛이 너를 들어 올리는 시간
삼목 향기 가득한 언덕에서
지평선을 향한 너를 큰 소리로 부르고 싶어
나는 너를 나라고 불러본다


죽은 혼과 춤을 추는 부토 댄서처럼
내 몸에 너를 느끼며
하늘을 향해 손가락을 들어 올릴 거야
자기가 아니라 다른 것을 가리키기 위해
거기 서 있는 이정표처럼


누군가 죽고 49일이 지났다. ‘일곱 번째 작별인사’를 한다. ‘사십구재’는 7일마다 일곱 차례 재를 지낸다고 해서 ‘칠칠재’라고도 한다. 사자의 명복을 비는 의식이다. “지금은 너의 탯줄을 매달 시간/별빛이 너를 들어 올리는 시간”. 네 눈은 지구의 밤을 향해 슬프게 열려 있는데, 오늘은 봄눈이 내렸다. 죽은 너를 향한 그리움에 “삼목 향기 가득한 언덕에서” 지평선 너머로 사라진 너의 혼을 부른다. 불러도 대답 없는 너를 애타게 소리쳐 부른다. 불러도 대답 없는 죽은 자를 부른다는 점에서 김소월의 ‘초혼’을 새로운 화법으로 쓴 시로 읽히는 바가 있다.

장석주 시인
2018-02-2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