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페이스북 지분 99% 기부 약속한 저커버그

[사설] 페이스북 지분 99% 기부 약속한 저커버그

입력 2015-12-02 18:12
수정 2015-12-02 18: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모든 아이들이 더 나은 세상에서 살 수 있도록 조그만 기여를 하고자 한다.”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인 마크 저커버그와 그의 아내 프리실라 챈이 1일 우리 돈 52조원어치의 페이스북 지분 기부를 약속하며 남긴 말이다. 가진 것의 거의 전부를, 그것도 상상하기 어려운 거액을 내놓으면서 ‘조그만 기여’로 낮춘 30대 부부의 넓은 가슴과 겸손에 경의를 표한다.

저커버그는 최근 태어난 딸 맥스에게 주는 편지를 페이스북에 올리면서 이 낭보를 세상에 알렸다. 그는 아내와 함께 자선재단 ‘챈 저커버그 이니셔티브’를 설립해 질병 치료와 빈곤 퇴치, 강력한 공동체 형성을 위한 사업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저커버그의 재산 기부 약속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그는 5년 전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회장과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 주도로 재산 50% 이상을 사회에 환원하기로 약속하는 ‘기빙 플레지’(Giving Pledge)에 서명했다. 앞서 세계 최고의 부자 빌 게이츠 부부도 자선재단을 설립해 거의 모든 재산을 기부하고, 자녀에게는 각각 1000만 달러(약 116억원)씩만 물려주기로 했다. 버핏도 재산의 99%를 환원하기로 약속했다.

저커버그를 비롯한 통 큰 기부천사들의 잇단 선행은 부러움과 함께 우리의 빈약한 기부 실태, 그리고 기업가들의 볼썽사나운 후계 다툼과 대비돼 씁쓸함을 준다. 우리의 기부 문화는 척박하다. 지난달 10일 영국 자선구호재단(CAF)이 발표한 2015 세계기부지수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145개국 중 64위에 그쳤다. 기부문화도 선진국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임을 고려하면,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인 우리의 부끄러운 단면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 심심하면 터져 나오는 재벌가의 후계와 재산 다툼은 안타까움을 넘어 분노마저 느끼게 한다. 지금도 형제간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롯데가나 효성가를 비롯해 국내 주요 재벌가 중에 가족간 분쟁이 없는 집안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다. 형제나 남매간, 심지어는 부모 자식 간 소송을 남발하면서 누구 하나 재산의 10%라도 살아 있을 때 기부하겠다고 약속한 재벌이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도 1980년대 몇몇 기업인이 사회에서 번 돈은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며 ‘유산 안 물려주기 운동’을 시작했다. 하지만 우리가 알 만한 재벌가에서 여기 참여했다는 소식은 아직 들리지 않는다. 재벌가들은 실추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저커버그의 99% 기부 약속을 죽비로 받아들이기 바란다.
2015-12-0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