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률의 정원일기] 봄은 그냥 오지 않는다

[김동률의 정원일기] 봄은 그냥 오지 않는다

입력 2025-03-11 00:03
수정 2025-03-11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일러스트 고재하
일러스트 고재하


정원 있는 삶도 겨울철엔 휴면기다. 마당일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춘삼월, 우수, 경칩이 지났건만 정원은 여전히 긴 잠에 취해 있다.

잠시 행복하려면 술에 취하고, 한두 해 행복하려면 사랑에 빠지고, 평생 행복하려면 정원을 가꾸라는 말이 있다. 많은 도시 사람들은 정원이 있는 삶을 꿈꾼다. 그러나 실상은 그리 녹록지 않다. 특히 겨울이 문제다. 말이야 ‘겨울은 겨울답게 추워야지’ 하지만 많이 고통스럽다. 그래서 겨울내내 마당 쪽은 외면한다. 애써 못 본 체한다. 눈이 오면 오는 대로, 쌓이면 쌓이는 대로 내버려둔다. 산기슭 집, 현관을 나서면 북한산 정상에서 불어오는 냉기 품은 바람에 눈 냄새가 묻어 있다

마당 있는 집에 살게 되면 때때로 추위로 떨었던 유년 시절이 생각난다. 근원적인 노스탤지어다. 인간이 가지는 가장 아름다운 정서는 그리움이라고 했다. 그땐 정말 추웠다. 물 묻은 손으로 동그란 무쇠 문고리를 잡으면 손이 쩍쩍 달라붙었다. 소죽을 끓이던 가마솥에 세숫대야를 넣어 덥힌 물로 여럿이 돌아가며 고양이 세수를 했다. 요즘 세대들이 상상이나 하겠는가. 등잔불 아래 해진 양말을 깁던 할머니의 주름진 얼굴도 어제같이 선명하다.

기후변화로 더이상 그 시절 추위는 없다. 하지만 집 마당은 여전히 겨울이다. 빨랫줄에 옷을 널기가 무섭게 대관령 덕장의 꽁꽁 언 황태 모습이다. 나무들은 칼바람에 맥을 못 추고 있다. 지난여름 초록을 빛내던 위풍당당함은 어디에도 없다.

유리창을 통해 본 정원풍경은 뿌옇기만 하다. 문 바깥쪽 전체를 비닐로, 안쪽에는 ‘뽁뽁이’로 덮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안쪽에는 물방울이 대롱대롱 달려 있다. 집이 마치 빛바랜 낡은 온실 같다. 마당 구석에 거꾸로 달아 놓은 무청 시래기가 바람에 떨고 있다. 벌 받는 아이 같아 괜히 마음이 심란해진다. 모과나무에 달려 있는 바짝 마른 모과 몇 알이 마치 정물화 같다.

봄이 와야 겨울이 물러간다. 하지만 지상의 온갖 꽃, 나무들에게 봄은 그냥 오지 않는다. 겨울을 견뎌 내야 비로소 봄이 온다. 고개를 들어 올려다본 밤하늘, 달빛이 감나무 위에 하염없이 부서지고 있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

이미지 확대
김동률 서강대 교수
김동률 서강대 교수
2025-03-11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