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불편한 동거/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불편한 동거/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5-07-10 18:02
수정 2015-07-10 20: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거북이 두 마리가 함께 산다. 아이들 성화에 못 이겨 집에 들인 지 5년. 녀석들 건사하는 일은 줄곧 내 차지였다. 새끼손가락만 했던 것들이 어느새 손바닥보다 몸피가 더 굵어졌다. 끼니 챙겨 주기에 꾀가 날 때마다 생각을 고쳐 먹는다. 상대가 누군가. 장수 운(運)을 주무른다는 영물, 거북이다. “너희들 배곯리지 않으려면 내가 하루라도 더 살아야지….” 노부부가 등 쓸어 주며 주고받는 드라마 속 대사를, 내가 해 놓고 내가 혼자 웃는다.

청거북 수명이 20년이다. 기실 웃을 형편이 못 된다. 애틋하지 못한 동거를 끝내고 싶은 마음, 진작에 굴뚝이다. 생태계를 뒤죽박죽 만든다니 한강에 방생도 못 하고. 두 눈 시퍼렇게 뜨고 쳐다보는 영물을 산속에 갖다 놓고 돌아설 용기도 없고. 미국 미시시피 계곡이 고향이라는데, 떵떵대며 천수 누릴 녀석들이 천덕꾸러기다. 팔자에 없는 ‘거북 봉양’에 묶인 나는 또 무슨 죈가.

아마존에, 남아프리카에 있어야 할 피라니아, 발톱개구리가 엉뚱한 데서 발견돼 사람들이 기함한다. 키우다 버리는 죄, 불가에서는 무거운 업(業)이다. 한 치 앞을 못 내다본 환경부가 여러 사람을 참 딱하게 만든다.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5-07-1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