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농업 보물/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농업 보물/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5-11-18 18:14
수정 2015-11-18 19: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충남 서산의 개심사는 역사가 백제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지만, 지금은 이른바 산지중정(山地中庭)형의 전형적인 조선 후기 사찰의 모습을 하고 있다. 임진왜란으로 사찰이 폐허가 되자 큰 법당을 북쪽에 둔 직사각형 가람의 모습으로 중건한 것으로 추정한다.

개심사가 유명해진 이유의 하나는 심검당(尋儉堂)에 붙인 덧집 때문이다. 심검당은 ‘지혜의 칼을 벼리는 공간’쯤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도저히 동량(棟梁)이 될 수 없을 구불구불한 재목을 써서 덧집을 지은 것이다.

전남 구례 화엄사의 구층암에도 모과나무를 치목(治木)하지 않은 채 그대로 기둥으로 사용한 건물들이 있다. 모두 자연미를 살린 조상의 지혜라는 데는 동의하지만, 왠지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려는 작위(作爲)의 느낌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농업박물관에서 세 칸 구유를 보고 무릎을 쳤다. 휘어지고 뒤틀려 장작 말고는 쓸모없을 나무의 곡선을 살려 세 칸의 여물통을 판 것이다. 농업박물관은 이 구유를 ‘농업 보물 9호’로 지정했다고 한다. ‘농업 보물’이라는 아이디어도 재미있고, 이 여물통을 보물로 지정한 안목도 감탄스러웠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11-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