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단비/이동구 논설위원

[길섶에서] 단비/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17-06-07 22:32
수정 2017-06-08 0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틀째 비가 내린다. 목마른 대지를 차근차근 적신다. 감질난다는 느낌이지만 오랜 가뭄 중이라 더없이 반갑다. 꼭 필요한 때에 맞춰 내려 주는 그야말로 ‘단비’다. 비용 들이는 일도 아닌데, 이왕이면 시원하게 좍좍 좀 내렸으면 좋았으련만. 약간은 아쉬운 마음에 허공에다 눈을 흘긴다.

이맘때의 비는 예부터 풍요의 상징으로 여겼다. 논밭의 곡식을 비롯해 꽃과 나무들이 한창 자라야 할 때이니 당연하다. 빗줄기가 활기차게 땅을 적시고 농부의 땀방울까지 말끔히 씻어 준다면 금상첨화다. 가을의 풍요로움을 약속할 수 있는 단비가 아닌가.

다른 자연현상과 마찬가지로 비도 인간의 심성에 자주 비유된다. 김남조 시인은 ‘비는 뿌린 후에 스스로 거두지 않음이니/ 나도 빗물 같은 정을 주고 달라진 않으리라?’며 빗물을 인간의 정(情)에 비유했다.

정치니 사회생활이니 하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온갖 배신과 시기, 질투 속에서 살아간다. 시인의 마음이나 곡식에 내리는 단비처럼 그저 뿌려 주기만 한다면 정이 넘치는 삶이 되지 않을까. 단비 같은 사람이 되고 싶은데, 글쎄….

이동구 논설위원
2017-06-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