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간헐적 단식/김균미 대기자

[길섶에서] 간헐적 단식/김균미 대기자

김균미 기자
입력 2019-02-07 22:26
수정 2019-02-08 00: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간헐적 단식에 대한 관심이 높다. 지난달 한 방송에서 간헐적 단식에 관한 프로그램을 방영한 뒤 온라인에 간헐적 단식 방법과 효과를 묻는 글들이 부쩍 늘었다. 간헐적 단식은 몸 상태에 따라 기간을 정해 하루 중 16시간 동안 공복을 유지하는 단식법이다. 체중 감량뿐 아니라 콜레스테롤이나 인슐린 수치 등에 영향을 준다는 내용인데, 물론 개인 차이가 있어 무턱대고 따라할 건 못 된다.

설 연휴 동안 재방송되는 것을 보면서 2012년 일었던 ‘1일 1식’ 열풍이 떠올랐다. 일본 의학박사 나구모 요시노리가 쓴 ‘내 몸을 살리는 52일 공복 프로젝트’라는 부제가 달린 책 ‘1일 1식’은 순식간에 베스트셀러가 됐다. 하루에 한 끼만 먹는다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만났던 기억이 난다. ‘먹방’과 요리 프로그램이 넘쳐나지만, ‘잘 먹기’ 못지않게 ‘덜 먹기’, ‘건강하게 먹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그만큼 높다.

비우면 편해지는 게 어디 우리 몸뿐일까. 마음도, 생각도 가끔은 비울 필요가 있다. 그래야 새로운 생각이 고이고, 걱정을 덜 방법도 떠오른다. 쉴 때는 확실하게 쉬라고들 하지만 그게 말처럼 쉽지 않다. 비우기도 연습이 필요하다. 시행착오를 겪다 보면 나만의 ‘간헐적 심신 단식법’을 찾아낼 수 있지 않을까.

kmkim@seoul.co.kr

2019-02-0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