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봉인됐던 기억/전경하 논설위원

[길섶에서] 봉인됐던 기억/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0-03-05 21:58
수정 2020-03-06 0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래전 남동생을 날벼락처럼 잃은 기억을 덮었다. 무심한 듯 소식 끊고 어디선가 잘 살고 있는 것처럼 여겼다. 사고 당시 만삭이라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나를 위한 방어였다. 그러면 덜 슬프고, 덜 힘들 거라고 생각했다. 망상이었다. 그렇게 눌렀던 슬픔은 예기치 않았던 일들에 비집고 올라와 가슴에 깊은 생채기를 남긴다.

얼마 전 누군가 불쑥 동생 안부를 물어 왔다. 고등학교 친구라며 소식이 끊겼는데 뭘 하고 있냐고 물었다. 침묵이 흐른 뒤 대답하면서 무릎이 계속 꺾였다. 잘못했구나. 동생이 다양한 세상을 살았는데 나와 가족은 하나의 세상을 잊어버렸다는 뒤늦은 후회와 미안함이 밀려왔다.

세상은 참으로 얄궂다. 후배가 비슷한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앞으로 몇 년 동안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할 부모, 부모 앞에서 입술을 깨물며 슬픔을 삼킬 가족들. 지인들이 문득문득 느낄 허망함이 가족들은 감사하지만 그 사실 자체가 처참하다. 그 무엇으로도 표현할 수 없는 당사자의 억울함.

떠난 자에게 소중한 하루를 눈이 부시게 잘 살아야 한다고 이성은 되뇌는데 마음은 계속 허망해한다. 그래서 못난 사람이다. 한때 같이했음을 담담히 이야기할 시간은 올까.

lark3@seoul.co.kr

2020-03-0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