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40년 만의 전화 상봉/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40년 만의 전화 상봉/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0-03-31 22:46
수정 2020-04-01 01: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회적 거리 두기가 길어지면서 새삼 전화의 고마움을 절감하는 요즈음이다. 문자, 카톡은 물론 5G 기술로 끊김 없는 영상통화까지 할 수 있으니 재택근무도 큰 무리가 없다. 게다가 쇼핑이며, 외식 배달이며 다 전화로 해결돼 집 밖에 나갈 일이 없다. 몸이 근질거리고, ‘확 찐자’가 되는 부작용만 견뎌 내면 얼마든지 ‘집콕’이 가능할 것 같기도 하다. 이 모두 스마트폰이 없었다면 언감생심이다.

오도 가도 못하는 상황에서 얼마 전 반가운 전화 한 통을 받았다. 휴대전화 창에 등록돼 있지 않은 전화번호 하나가 떠 “누굴까?” 궁금해하며 받았는데 뜻밖에도 ‘깨복쟁이’ 동네 친구다. 초등학교까지 함께 보낸 후 중학교 때 오가며 만난 뒤로는 연락이 끊겼었다. 40년 만의 전화 상봉이다.

1시간 가깝게 서로 그동안 살아온 얘기며, 골목 추억, 근황 등을 반갑게 공유했다. 개구쟁이 유소년기 10여년을 어깨동무했던 친구와는 40년 공백도 벽이 되지 못했다. 코로나19 사태가 끝나면 직접 만나 소주잔을 나누기로 했다. 지금의 공자라면 이렇게 말했을지도 모르겠다. 유붕시격호구전화래(有朋時隔好久電話來), 불역락호(不亦樂乎)! “벗이 있어 너무도 오랜만에 전화가 오니, 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stinger@seoul.co.kr
2020-04-01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