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대, 접촉은 현저히 줄었고 소통은 뜸해졌다. 재택근무로 인해 한 직장, 같은 부서 동료들도 얼굴 본 지 오래다. 동호회조차 문을 닫아 취미활동도 나홀로 1년을 넘었다. 그리운 사람들과의 만남도 예전 같지 않다. ‘언제 한번 보자’는 핸드폰 너머 억양은 기약 없는 약속을 하듯 짙은 저음이 깔리기 일쑤다.
코로나19 이전만 해도 분기에 한 번 이상은 꼭 만났던 개인모임이 하나 있다. 외로운 해외생활, 곁에 있어 준 소중한 친구들이다. 어릴 적부터 허물없이 지내 온 죽마고우(竹馬故友)도 좋지만 나이 차를 잊고 허물없이 사귄 망년지우(忘年之友), 서로 뜻이 통하는 지기지우(知己之友) 또한 각별하다. 이런 친구들이 있다는 게 행운이기도 하다.
코로나19 사태가 2년째로 길어지면서 전화로만 소통하는 ‘고막 친구’, 문자로 안부를 묻는 ‘손가락 친구’가 되어 가는 게 아쉬웠는데 그중 한 명이 온라인 음악회를 열겠다고 랜선 초대장을 보냈다. 국내 유명밴드를 키워 낸 실력 있는 뮤지션이다. 그의 애절하고도 짙은 허스키 음색을 오랫동안 듣지 못했다. 온라인 음악회가 기다려지는 이유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고 했던가. 코로나19 장기화, 친구들 간의 소통법도 그에 맞게 적응해 가고 있다.
stinger@seoul.co.kr
코로나19 이전만 해도 분기에 한 번 이상은 꼭 만났던 개인모임이 하나 있다. 외로운 해외생활, 곁에 있어 준 소중한 친구들이다. 어릴 적부터 허물없이 지내 온 죽마고우(竹馬故友)도 좋지만 나이 차를 잊고 허물없이 사귄 망년지우(忘年之友), 서로 뜻이 통하는 지기지우(知己之友) 또한 각별하다. 이런 친구들이 있다는 게 행운이기도 하다.
코로나19 사태가 2년째로 길어지면서 전화로만 소통하는 ‘고막 친구’, 문자로 안부를 묻는 ‘손가락 친구’가 되어 가는 게 아쉬웠는데 그중 한 명이 온라인 음악회를 열겠다고 랜선 초대장을 보냈다. 국내 유명밴드를 키워 낸 실력 있는 뮤지션이다. 그의 애절하고도 짙은 허스키 음색을 오랫동안 듣지 못했다. 온라인 음악회가 기다려지는 이유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고 했던가. 코로나19 장기화, 친구들 간의 소통법도 그에 맞게 적응해 가고 있다.
stinger@seoul.co.kr
2021-05-0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