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삭제/진경호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삭제/진경호 수석논설위원

진경호 기자
진경호 기자
입력 2022-02-21 22:32
수정 2022-02-22 01: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절교는 그나마 아픔이나 아쉬움 같은 부스러기가 꼬리에 달린다. 자책이나 후회인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페삭’은 다르다. 페이스북 친구 삭제. 끊는 게 아니라 지우는 것. 한 줌의 미련도 묻어나지 않는다.

선거 바람이 불면 페이스북엔 후두둑 ‘친구’ 떨구는 소리가 가득하다. “그가 이런 생각을 지닌 사람인 줄 몰랐다.” “이런 자와 더는 입씨름하고 싶지 않다.” 한참 전 조국 갖고 싸우더니 이젠 이재명, 윤석열을 놓고 싸우고는 앞다퉈 페친 삭제 키를 누른다. 말 같지 않은 네 말 더 들어줄 이유가 없다고. 생각이 이렇게도 다른 당신과는 전자신호로라도 친구로 엮이기 싫다고. 한때 어느 곳, 어느 맛집을 서로 들이대며 ‘좋아요’를 마구 눌러 댔던 그들이다.

“한 철 머무는 마음에게 서로의 전부를 쥐여 주던 때가 우리에게도 있었다.” 어차피 인스턴트 관계인 것을, 박준 시인이 떠올린 시절은, 사람은, 사이는 있었던 적이 없었는지 모른다. 나도 삭제되고 너도 삭제된다. 뺄셈만 더해 가는 세상, 가난하다.

2022-02-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