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어디에도 없는

[길섶에서] 어디에도 없는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24-03-08 00:35
수정 2024-03-17 20: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봄날도 겨울날도 아니어서 엉거주춤한 이즈막. 해를 넘긴 김장 통에 군물이 설핏 돈다 싶으면 입맛이 먼저 종잡을 수 없어진다. 질긴 몸살을 앓고는 하는데, 가만히 누웠으면 잊고 있던 맛들이 간절해진다.

목젖이 뜨끔거리도록 뜨거운 뜨물 숭늉 한 그릇을 소리 내어 마시고 싶다거나, 물리도록 먹던 예전의 우리집 섞박지를 한입만 깨물어 봤으면 한다거나. 곱게 내린 쌀뜨물에 누룽지를 살살 달랜 둥그런 맛, 김장독에 덤벙덤벙 던져만 놨어도 겨우내 살얼음이 끼쳐 정신 번쩍 들게 하던 쨍한 맛. 객짓밥 수십 년을 먹었어도 둥그렇고 쨍하던 맛에 허기가 져서 나는 다시 뜨내기.

몸살에 몸져 눕는 시간은 두고 온 곳에 다녀오기 좋은 시간이다. 모퉁이가 없다면 그리운 것이 뭐 있겠냐는 시인의 말처럼, 쉬엄쉬엄 돌아가라는 삶의 모퉁이.

오늘은 초저녁 풋잠을 자야지. 꿈결에 배꼽이 벌떡 일어나게 먹고 와야지. 둥글고 쨍한 맛이 어디에도 없이 그곳에만 있던 오래된 그 부엌에 가서.
2024-03-0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