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보수·노동당 러브콜 자민당 어떤짝 고를까

英보수·노동당 러브콜 자민당 어떤짝 고를까

입력 2010-05-10 00:00
수정 2010-05-10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국의 정치권이 지난 6일(현지시간) 끝난 총선 이후 짝짓기에 나선 형국이다. 총선결과, 과반의석(326석)을 차지한 당이 없는 ‘헝 의회(Hung Parliament)’인 까닭에 제1당이 된 보수당도, 제2당으로 물러난 노동당도 연정 구성에 힘을 쏟고 있다. 이 때문에 57석을 확보, 제3당으로 자리를 굳히며 캐스팅보드를 쥔 자유민주당(자민당)의 ‘주가’는 치솟고 있다. 현재 306석의 보수당은 자민당만 끌어들이면 과반을 넘어 의회를 확실하게 장악할 수 있다. 258석의 노동당은 자민당과 연정하면 과반에는 못 미치지만 보수당보다 의석이 많아져 정국운영도 가능하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보수·노동 양당 모두 자민당의 선택을 기다리는 가운데 연정이 실패할 경우, 연내 총선 재실시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데이비드 캐머런(왼쪽) 보수당 당수는 8일 닉 클레그(가운데) 자민당 당수를 만나 연정을 제의했다고 BBC 등 영국 언론이 전했다. 70여분간 비공개로 이뤄진 회동과 관련, 보수당 측은 “연정에 대해 우호적이고 건설적인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캐머런 당수는 당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빅딜이 가능한 포괄적인 제안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노동당도 자민당에 적극적으로 구애하고 있다. 연정이 성사되면 보수당의 집권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동당 당수인 고든 브라운(오른쪽) 총리도 클레그 당수에게 전화를 걸어 연정 조건 등을 내걸며 40여분 동안 의견을 나눴다.

클레그 당수는 당 회의에 참석하기 전 “세제개혁, 교육기회 평등, 선거제도개혁 등에 중점을 두고 연정 협상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자민당은 보수당과 연정하면 정책을, 노동당을 택하면 선거결과에 대한 명분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자민당의 고민도 깊다. 자민당은 유럽연합 권한 확대, 이민정책, 국방정책 등에서 보수당과 상반되면서 노동당과 비슷한 당론을 갖고 있다.

빅토리아 허니먼 리즈대 교수는 “보수당과 자민당 연합이 최선의 시나리오지만 두 정당에서 연정을 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데이비드 버틀러 너필드대학 교수는 “연정협상이 결렬되고 선거가 곧 다시 치러질 것”이라면서 “캐머런 당수가 소수당 정부를 운영한다면 다음 선거에서는 과반 의석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선데이 텔레그래프의 여론조사에서 33%는 보수당·자민당 연정을, 32%는 노동당·자민당 연정을 희망했다. 18%는 보수당의 단독 소수당 정부를 지지했다.

박춘선 서울시의원, 우리 동네 ‘누구나 걷기 편한 명품 공원길’ 완성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9일 문현섭 구의원(강동구, 국민의힘), 강동구 푸른도시과와 함께 강동구 상일동 일대에 위치한 명일근린공원을 찾아 무장애 데크길 조성사업의 완료 현장을 점검하고 지역 주민들과 함께 완공을 축하했다. 본 사업은 서울시 2024년 본예산 8억원이 편성되어 추진된 것으로, 공원 내 493m(폭 1.5m~1.8m) 구간에 데크길을 설치하고, 흙먼지털이기 1개소 교체, 수목식재 및 경관조명 설치 등이 포함된 정비사업이다. 2024년 10월 공사 발주 및 계약을 거쳐 11월 착공에 들어갔으며, 올해 6월 27일 공사가 최종 마무리됐다. 특히 데크길 설치를 통해 수목이 자라는 녹지공간을 보호하고 이동약자·휠체어·유모차·어르신 등 공원을 찾는 모든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박 의원은 “강동구 상일동에 위치한 명일근린공원은 지역 주민들이 일상 속에서 여가와 휴식을 즐기는 중요한 생활공간”이라며 “누구나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 공원길이 완성된 것은 주민들의 건강증진 및 여가복지의 질을 높이는 큰 성과”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박 의원이 서울시 예산 확보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원, 우리 동네 ‘누구나 걷기 편한 명품 공원길’ 완성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05-1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