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한 정치담론 탓 vs 정신이상자 소행

격한 정치담론 탓 vs 정신이상자 소행

입력 2011-01-10 00:00
수정 2011-01-10 1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애리조나 총격사건에 美 정치인간 견해 갈려

 미국 애리조나주(州)에서 8일(현지시각) 발생한 가브리엘 기퍼즈 의원 총격 사건의 원인을 놓고 미국 정치인들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일부는 6명을 살해한 광포한 행동은 정신이상자인 한 개인이 저지른 일이라고 주장하는 반면,이번 사건이 당파적 논쟁의 격렬한 어조를 반영한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면서 미국의 정치 담론 세태가 도마 위에 올랐다고 미 NBC방송이 전했다.

 9일 NBC 프로그램 ‘미트 더 프레스’에서 애리조나 공화당 의원인 트렌트 프랭크스는 한 정신이상자가 저지른 이번 사건은 “자유뿐 아니라 국가 자체에 대한 공격이며 인간성에 대한 공격”이라고 말했다.

 그는 범인은 인간의 생명에 대한 존경심이 없는 미치광이며 “주장이 무엇이든 간에 그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사람을 살해하는 것을 개의치 않았다”며 그가 원대한 정치적 발언을 하려는 사람이었다는 견해를 반박했다.

 딕 더빈 민주당 의원,이매뉴얼 클리버 공화당 의원,데비 와서먼 슐츠 민주당 의원 등은 정치인과 뉴스 매체의 무절제한 폭언이 개인의 난폭한 행동을 부추겼다며 프랭크스 의원의 견해에 이의를 제기했다.

 더빈 의원은 “후퇴하지 말고 재장전하라”는 세라 페일린의 전투적 슬로건을,슐츠 의원은 작년 가을 선거 당시 “투표용지(ballots)가 효과가 없으며 총탄(bullets)을 사용할 것”이라고 말한 한 라디오 토크쇼 진행자의 발언을 예로 들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클리버 의원도 “많은 부분은 워싱턴 정가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어떤 논쟁에서든 나는 옳고 너는 악이라고 말하는 것이 이 나라에 해를 끼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의회의 격렬한 논쟁은 일부 미국인들에게 엔터테인먼트가 되었으며 이들이 마음 깊숙한 곳의 악의를 표출하는 것에 대한 변명을 제공한다며 의원들이 발언 수위를 낮춰야 한다고 촉구했다.

 새내기 의원인 공화당의 라울 라브라도는 “양쪽 진영에 모두 극단적이고 미친 사람들이 있으므로 양측 모두에 책임이 있다”며 “어느 한쪽에만 책임을 돌려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ABC프로그램 ‘디스위크’에 출연한 칼럼니스트 조지 윌은 논란을 일으키는 게스트와 도발적 발언을 쫓는 케이블 TV 토크쇼에도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